18.226.169.94
18.226.169.94
close menu
KCI 등재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Concentration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김현영 ( Kim Hyun Young )
지적장애연구 19권 4호 183-207(2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28562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12세, 지적장애 3급 남아로 ADHD 및 자폐성향이 강한 아동이다. 미술치료는 총 22회로서 16회기는 개인미술치료로 주 1회 50분씩 진행하였고, 5주가 지난 후 집단미술치료 6회기를 주 1회 60분씩 추가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자기표현 체크리스트와 단축형 코너스 부모ㆍ교사 평가척도(ACRS)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주의집중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매 회기마다 관찰·기록하였으며 활동과정을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회기 과정의 행동과 작품 내용에서 자기표현과 주의집중력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초기단계에서는 주제와 상관없는 글자쓰기를 반복하고 활동에 대한 흥미를 보이지 않았으나, 점차 다양한 미술표현과 언어표현을 자발적으로 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산만하여 착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아동이 정해진 시간동안 한 번도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집중하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학교현장에서의 주의집중의 유지와 적응을 돕기 위해 추후 실시한 집단미술치료에서도 작품 활동에 집중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작품 활동을 도와주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제를 복합적으로 지닌 지적장애아동에 대한 단일사례연구로서, 관찰과 분석을 통해 미술치료 과정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concentration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oys at the age of 12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showing strong symptoms of ADHD and autistic features. The program consisted 22 sessions in total, and 16 sessions were conducted as private art therapy once a week for 50 minutes. After 5 weeks, 6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study, preand post-test were performed using Lowenfeld’s checklist of self-expression and Abbreviated Conners Parent-Teacher Rating Scale (ACRS). Also to measure the attention spans of the children, observations made in every session were recorded and the activity proces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mproved. Second, the concentration level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mproved. Thir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self-expression and concentr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the session. In the early stage, they repeatedly scribbled letters irrelevant to the topic and showed no interest in activities, but gradually changed into a form of voluntarily expressing various art expressions and language expressions. Also, children who were distracted and were hardly seated were able to carry out their assignments without leaving their seat for a fixed period of time. In addition, in group art therapy sessions which were conducted to help maintain attention and adaptation at the school site, they were not only concentrated on their work activity, but also helped other members of the group which showed aspects of interactive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detailed research materials on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as single case study on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arrying diverse proble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