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61.223
18.188.61.223
close menu
KCI 등재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고등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hanges in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 Focasing on 『Grammar』 in High School -
양세희 ( Yang Sehui )
새국어교육 113권 65-96(32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5302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정 문법 교과서 체제가 마련된 4차 교육과정부터 5, 6, 7차 교육과정, 2009 교육과정, 2011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각 『문법』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대상으로 삼았다.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의 유형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목한 것은 학습자의 목표 지향적인 문법적 사고의 과정, 문법적 수행 경험이다. 사고의 과정은 ‘정보 인출, 개념 이해, 개념 분석, 지식활용, 메타인지, 자기체제 사고’로 나누고, 탐구 경험 요소는 ‘국어의 체계성, 국어의 기능성, 국어의 관념성’으로 나누었다. 문법 교과의 특성상 국어의 체계성과 관련된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그 중 ‘이해’와 ‘분석’ 과정이 비중이 높다. 이 비율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그 활동을 표상하는 방식은 달라졌다. 그런데 국어의 기능성과 국어의 관념성에 관련된 활동 중 분석과 활용 과정은 작게나마 증가하고 있다. 국어의 체계성과 기능성 측면 모두 7차 교과서보다 2009, 2011 교과서에서 분석과 활용 활동이 줄어든 점이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문법 교과서가 어떤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지를 간접적으로 제시한다는 의미도 함축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of each 『grammar』 textbook from 4th curriculum though 5th, 6th and 7th to 2009 and 2011 curriculum were examined. Learners’ goal-oriented grammatical thinking process and grammatical performance experience were highlighted to abstract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of grammar textbooks. The thinking process was divided into ‘information retrieval,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use of knowledge, meta-cognition and self-system thought’, and factors of exploratory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systemicity, functionality and ideality of Korean language’. Some activities related with systemicity of Korean language largely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subject. Among them, the portion of ‘understanding’ and ‘analysis’ is higher and i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ereas that of analysis and use process, amo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functionality and ideality of Korean language has been somewhat changed. As self-monitoring has been added to textbooks since 2009 curriculum, they have reflected meta-cognition thinking process. However, self-system thought has never been found. Such a process indirectly suggests how the grammar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