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4.103
18.219.224.103
close menu
KCI 등재
도면과 목업의 표현방식이 크기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Drawings and Mock-ups on Size Perception
권순걸 ( Kwon Soon Gul )
UCI I410-ECN-0102-2018-600-004219720

제품디자인 개발 과정 중 디자이너는 도면을 통해 디자인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업을 제작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도면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목업을 제작했을 때 도면과 목업에서 각각 인지한 크기가 동일하다는 전제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런 당위성에 의문을 제기하여 3차원의 목업을 1:1 스케일로 표현한 2차원의 도면을 볼 때 도면을 통해 지각한 대상의 크기가 목업과 동일한지 다른지, 만약 다르다면 크기를 다르게 지각하는 특정 경향이 있는지 실험을 통해 검증하려 한다. 연구범위는 제품디자인과 시지각(視知覺) 분야로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인지심리학과 뇌과학 관련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인간이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인지하는 기본 원리와 착시에 관해 기초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도면과 목업으로 표현된 물체가 동일한 크기로 인지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3가지 기초도형(정육면체, 원기둥, 구)을 서로 다른 크기의 5가지 도면과 하나의 목업으로 각각 제작하여 크기지각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서 참가자는 기초도형 목업과 동일한 크기로 생각되는 도면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실험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정육면체 실험의 경우 정육면체 모델과 동일한 크기로 표현된 도면이 정육면체 모델 보다 작다고 지각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반대로 구 실험의 경우 구 모델과 동일한 크기로 표현된 도면이 모델 보다 크게 지각될 가능성이 높았다. 원기둥 실험의 경우 3차원의 원기둥 모델과 동일한 크기의 도면이라고 선택한 빈도가 5가지 도면 모두 큰 차이 없이 비슷했다. 또한 3가지 모델의 도면별 선택빈도를 종합적으로 비교했을 때 모델 유형과 상관없이 모델과 동일한 크기로 표현된 도면이 그 모델과 동일한 크기로 지각될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결론적으로 단일 디자인 안을 표현한 도면과 목업의 표현방식 차이(2차원 대 3차원)가 크기지각에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며, 특정 경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런 연구결과는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도면이나 라인드로잉을 보면서 디자인을 검토할 때 디자이너가 지각한 크기가 목업이나 실제 제품과는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In general, mock-ups are made after the designs of them are reviewed through drawings in product design process. Therefore Designers have a preconceived notion that the sizes which they perceive through drawings and mock-ups are same.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about this preconceived notion.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ize that is perceiv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mock-up is the same as the size that is perceived through a two-dimensional drawing that expresses that mock-up. Moreover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whether subjects display a specific tendency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drawings and the mock-ups.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product design and visual perception. Basic research on recognizing the shape and the size of object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size of drawings that represent three-dimensional mock-ups were recognized the same as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mock-ups, three basic figures (cube, cylinder, sphere) were drawn in five different sizes respectively. In addition, a cube, a cylindrical, and a sphere mock-ups were built based on the drawing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shows that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size of the drawings which are created based on the mock-ups would be perceived a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mock-ups regardless of the mock-up type. Moreover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t a specific trend in the size perception between a two-dimensional and a three-dimensional 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the appearance of a design is reviewed with drawings in product design process, the size that is perceived by designers may be different from the mock-up size of the desig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