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8.125
18.218.38.125
close menu
KCI 등재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를 활용한 청년문화 분석 방안 연구 -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Youth Culture Using the Lecture Plan of Liberal Arts < Writing > and < Speaking >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우현주 ( Woo Hyun Ju )
국제어문 75권 309-338(30pages)
DOI 10.31147/IALL.75.12
UCI I410-ECN-0102-2018-800-003755767

본 연구는 대중문화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글쓰기와 말하기 향상을 위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현재 청년 대중문화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확실한 목적의식과 매뉴얼화된 비차별적인 기존 글쓰기 교육의 한계를 바로잡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러셀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참고하여 범교과적인 글쓰기와 말하기의 의사소통 교육을 제안한다. 학생들은 교수자의 강의로 한국 청년 문화사에 대해 선행 학습을 한 뒤 또래 청년들이 선택한 설문조사 결과와 교수자가 제시한 질문지를 참고하여 능동적인 조별 학습을 진행했다. 조별 발표 및 보고서 작성, 집단 토론 및 질의응답, 5분 스피치와 기말 시험 등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의사소통 체험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우선, 각 설문조사의 문항을 토대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6년 현재 청년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시의성과 소통력으로 정의된다.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 IT 변화와 함께 성장한 청년 세대는 K팝과 힙합, SNS, 인터넷 방송 등을 현재 청년문화의 특징으로 주목했다. 각각의 장르와 매체는 실시간으로 글로벌하게 현실을 반영하고 디지털 문화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공감과 소통을 표출한다. 이 과정에서 청년 세대는 문화의 수용력, 융통성, 변용력을 보이며 재생산과 소비, 유통에 이르는 문화 주체로서 적합한 특성을 지니는 멀티 주체로 명명된다. 각각의 문항을 조합하여 도출한 결과에 따른 의미 규정은 다음과 같다. 이들 멀티 주체에 의해 향유되고 재생산되는 텍스트들은 B급 문화의 정서를 내장한다. 이미 10대 시절부터 익숙한 현재 대학생들의 B급 정서는 비공식 구술언어 사용과 탈권위의 주체, 주류문화에 대한 냉소와 저항을 기저로 한다. 또한 기성질서에 편입을 욕망하지만 불가능한 현실에 대한 저항이 공존하는 양가성은 20대가 발화하는 언어, 혼족과 온라인 커뮤니티, 타인을 향한 충(蟲)의 전치와 다양성 존중 등의 상반된 개념이 동시적으로 청년문화에 수용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러셀의 이론을 전유하여 대중문화 분석이라는 개별 과목의 특성을 활동체계 주체인 학생들의 글쓰기와 말하기의 의사소통이라는 매개수단을 통해 면밀히 구현해 냈다는 점에서 특화된 수업 방식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utilization plan for the writing and speaking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pop culture analysi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youth pop culture. The uncertain sense of purpose and the manualized indiscriminate constitution were the limit of the existing writing textbook. Hereby this paper suggests the communication education of the cross-curricular writing and speaking with reference to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by Russell. Students learn the Korean youth culture history in advance through the professor’s lecture and conduct the active group learning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of survey on young men and the questionnaire presented by the professor.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communications through the group presentation, report writing, group discussion, 5-minute speech, and final exam,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youth culture in 2016 is defined as the timeliness and communication power. The youth generation which grew with the IT change such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even comprehends the receptive capacity, flexibility, and transformation power of the culture. They can be named the multi subjects bearing the proper nature as the culture subject comprehending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The texts enjoyed and reproduced by these multi subjects contain the use of informal verbal language, subject of de-authority, cynical smile and resistance to the mainstream culture, and emotion of class-B culture based on the mockery. Young men desire for their aim while accepting the ambivalence of the language and concept at the same time and resisting the social discourse endless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specialized class method in having well realized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subject called the pop culture analysis through the intermediation means called the communication of writing and speaking by students who were the subjects of the activity 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