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18.99
18.119.118.99
close menu
KCI 등재
서울시의 식품 사막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Food Deserts in Seoul
이누리 ( Nuri Lee ) , 김걸 ( Kirl Kim )
DOI 10.21189/JKUGS.20.3.6
UCI I410-ECN-0102-2018-300-004038848

인간은 누구나 건강한 식품을 섭취할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식품 사막 또는 식품 늪으로 불리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상당수가 존재한다. 이들은 장애인·노인·빈곤층 등 사회적 약자에 해당된다. 식품사막은 국가와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 입지 특성이 달리 나타난다. 미국과 호주 등의 넓은 국토 면적을 가진 국가에서는 도시 외곽이나 농촌 지역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면, 영국이나 일본, 한국과 같이 상대적으로 국토면적이 좁은 국가에서는 점이지대나 도시 외곽의 빈곤지역에서 나타난다. 빈곤과 불량한 거주환경을 비롯하여 최근 급속도로 진행된 고령화 등이 식품 사막의 중요한 발생요인이다. 서울의 높은 인구밀도와 아파트 중심의 주거환경은 외국의 사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식품 사막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상 점이지대와 도시 외곽의 주거지역에 해당되는 서울시 남영동과 등촌3동 거주민의 신선식품 소비 행태를 살펴보고, 서울시의 식품 사막 발생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All human has the right to take healthy foods. However, there are so many people who cannot have it in the areas called as food deserts or food swamps.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social weak including the handicapped, the old and the underclass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food deserts are constructed and differentiated b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nations and regions. The food deserts of the U.S.A., and Australia that have a huge land are usually created in the urban periphery and rural area. In contrast, those of the U. K., Japan, and Korea that have a small land are created in the zone in transition of urban core surroundings or the deprived area of urban periphery. Poverty, declined built environment, and aging are major components of food deserts creation. Seoul has a big potential for a new type of food deserts to be created due to high population density and overwhelming apartment 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trast with the case of oversea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food deserts in Seoul and looks into the residents’ fresh food consumption behaviors as two cases of Namyoung-dong categorized as a zone in transition and Deungchon-3 dong categorized as a residential area in the term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