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12.99
3.16.212.99
close menu
KCI 등재
<기우목동가>, <진여자성가>의 십우도(十牛圖) 문화 수용과 문학적 변용 연구
A Study on Acceptance of Shipwoodo(十牛圖) Culture and Literary Transfiguration of < Kywumokdong -ga(騎牛牧童歌) >, < Jinyojasung-ga(眞如自性歌) >
최형우 ( Choi Hyung-woo )
어문론총 74권 219-243(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3743674

본 논문은 이전 시기 한국에 유입되어 조선조에 지속적으로 유행하였던 十牛圖문화에 직접적 영향을 받은 국문시가 2작품을 대상으로 十牛圖문화 수용 방식과 이에 대한 문학적 변용을 논의한 것이다. 十牛圖는 선불교의 참선 수행 과정을 10개의 그림과 게송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상, 종교, 회화, 문학을 아우르는 불교의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십우도는 고려시대에 이미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찰의 벽화로 그려지거나 문학 창작의 소재가 되는 등 우리 민족의 주체적인 문화로 향유되었다. 조선시대 창작, 향유된 경기체가 <騎牛牧童歌>와 가사 <진여자성가>는 이러한 十牛圖문화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국문시가들이다. 十牛圖가 부분적으로 문학 창작의 소재나 이미지로 활용되는 경우는 더러 있지만, 十牛圖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문학이 창작된 경우는 흔하지 않다. 더군다나 조선 후기 경허, 만해, 백봉 등에 의해 창작된 한시는 십우도송의 주제의식을 그대로 계승하는 차원에서 창작된 것이다. 이에 비해 국문시가인 <기우목동가>와 <진여자성가>는 十牛圖를 수용하면서도 시가 갈래의 본질에 맞춘 문학적 변용이 이루어져 불교시가의 창작 및 향유사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십우도 문화를 수용한 국문시가의 창작은 대중들을 위한 포교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해당 시가 갈래의 향유층의 기호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불교의 포교활동과 그 가운데 이루어진 국문시가의 창작과 향유는 조선시대 불교가 대중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증거이다. 아울러 시가 창작 과정에서의 문학적 형상화는 당시 불교 승려들의 문학 활동이 단순히 전대의 문화를 답습하는 차원에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시대와 향유층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 at searching about creation and enjoyment of literature, that was influenced by Shipwoodo(十牛圖) culture. < Kywumokdong-ga(騎牛牧童歌) > and < Jinyojasung-ga(眞如自性歌) > when created Josun dynasty, were influenced by shipwoodo(十牛圖)-song and painting, and were made up of autonomous literary transfiguration. But < Kywumokdong-ga(騎牛牧童歌) > is a type of praiseful tone, on the contrary, < Jinyojasung-ga(眞如自性歌) > is a type of the teaching tone. So, contents of shipwoodo(十牛圖)-song is revealed in a different way at each works. These kind of creation by korean words is composed of being active in propagating, consider genre reader’s liking. And literary transfiguration of this process was not remained of imitating previous generation’s culture,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So we know Josun’s Buddists communicated in the manner of various literary transfigur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