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3.119
18.222.23.119
close menu
KCI 등재
소집단 미술치료가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에 미치는 효과 - 방과 후 비교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 With a Focus on the After-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Pre-vocational Training Programs -
홍지경 ( Hong Ji-kyeong )
DOI 10.23944/Jsers.2017.12.56.4.5
UCI I410-ECN-0102-2018-300-003924921

본 연구는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재학 중인 고등교육기관의 방과 후 비교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으로서 시행되는 소집단 미술치료가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대학생들이 참여하는 비교과 교육에 있어서 이들의 직업적응에 필요한 인성적 자질과 인지적 특성 등 실질적이고 기본적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소재 N대학교의 재활자립학부 발달장애대학생들 중 ADHD를 가진 발달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행동은 주의집중행동의 지시 따르기, 활동 수행하기, 순서 기다리기이며, 실험설계는 대상의 주의집중행동에 대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총 20회기로 구성되었고, 각각 도입(활동에 집중하기 위한 이완 및 활동 설명, 10분), 전개(활동 실시, 30분), 마무리(10분)로 총 50분간 진행한다. 그리고 발달장애 대학생으로 구성된 전체집단을 12명으로 하여 각 4명씩 총 3개의 소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소집단마다 연구대상을 1명씩 배정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 대상별로 차이는 있으나 세 명의 대상 모두에게서 주의집중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소집단 미술치료가 ADHD를 가진 발달장애대학생의 주의집중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A의 경우 주의집중행동의 하위 항목 중 순서 기다리기 행동이 많이 향상되었고, 연구대상 B와 C의 경우에는 지시 따르기와 순서 기다리기 행동이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연구대상 세 명 모두가 중재단계를 거치면서 지시 따르기, 활동 수행하기, 순서 기다리기의 행동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단계에서도 중재단계에서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the college students having difficulty from development disability with ADHD inclination, especially when the therapy is used as a part of the after-school extracurriculum activity in pre-vocational training program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these students currently attend to.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optimal direction towards which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disabled college students should head, as well as explore the actions that must be taken to develop the basic necessities these students are in need of, such as characters and cognitive qualities, and to assist them with vocational adjustment. To achieve such objectives, 3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g with the ADHD inclin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rom the College of Rehabilitation at N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target behaviors for the subjects were attention behaviors, such as following instructions, performing tasks and waiting for turns. The experiments utilized multiple probe designs across the subjects,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ir attention behaviors, and followed the order of probe design,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20 sessions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each session took place for 50 minutes (including 10 minutes of introduction where the activity is explained to students and relaxation takes place to allow them to focus on the activity, 30 minutes of execution, and 10 minutes of conclusion). The entire group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total included 12 individuals in 3 groups of 4, with each group consisting of 1 subject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all 3 subjects of the experiment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their attention behaviors, although their extent varied. Such results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on the atten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ith ADHD inclinations; more specifically, subject A displayed an improved attention behavior in waiting for turns, and subjects B and C displayed an improved attention behavior in following instructions and waiting for turns. Through the intervention stage, all 3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ention behaviors in following instructions, performing tasks and waiting for turns. In the maintenance stage, such behaviors were maintained at a lower level than in the intervention sta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