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90.141
18.116.90.141
close menu
KCI 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 연구
A Study of the Field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김건희 ( Kim Keon-hee )
DOI 10.23944/Jsers.2017.12.56.4.6
UCI I410-ECN-0102-2018-300-003924936

본 연구는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교육실습 동안 어떤 경험을 하였고 그러한 경험을 통해 무엇을 생각하고 느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교육실습현장에서 실습지도 교사를 통해 미래의 교사상을 정립하기도 했고, 장애유아들을 직접 지도하면서 장애유아에 대해 심층적이고 신중한 이해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을 진행하면서 대학의 수업에서 예측하거나 배울 수 없었던 부분들을 배웠고, 장애유아의 반응을 통해 자신감을 얻기도 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실습 경험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특히 교육실습에서는 지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장애유아들로부터 반응을 얻는 경험은 예비유아특수교사들에게 큰 의미가 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선정과 지원에 노력이 필요하고,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교육실습동안 장애유아를 직접 지도하기 전에도 장애유아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장애유아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실습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과 교육실습기관과의 긴밀한 연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확립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practicum.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college seniors. As a result,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imagined their future selves as teachers. They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ok pleasure in interacting with them. The main concern of the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was teaching methods and the teacher who was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systematic support and practical guidance for enhancing field experience are needed in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choo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