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40.243
18.191.240.243
close menu
KCI 등재
국내 수치심 연구 동향: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hame: A Review of Main Counseling Journals in Korea
홍지선 ( Hong Ji-seon ) , 김수임 ( Kim Soo-im )
상담학연구 18권 6호 133-158(2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688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많은 내담자들이 보이는 주요 감정 중의 하나인 수치심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치심의 속성을 이해하고 향후 이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66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분석방법, 측정도구, 심리문제 변인 간 관계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로는 연구들이 전반적으로 꾸준히 이루어지다가 2009년 이후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났으며, 주로 대학(원)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 면에서 문헌연구를 제외한 나머지 연구가 모두 양적연구였으며, 양적연구들의 주제는 변인 간 관계연구가 87.8%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반면 질적 연구는 한편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방법별로는 구조분석(64.5%)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회귀분석이 27.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측정도구로는 연령에 상관없이 전체 연구대상에 걸쳐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60.1%), 수치심 경향척도(PFQ)와 자의식적 정서척도(TOSCA)가 그 다음으로 빈번하게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연구는 수치심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다른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역할을 검증한 연구들이었으며,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으로서의 수치심 연구는 각각 25.8%, 15.5%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치심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sham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motions the clients reveal frequently in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ham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by tim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heme,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tool, and relation to the various psychological issues based on 66 studies published from 2001 to 2017 in Korean major counseling journal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of shame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and started to increase distinctly from 2009, and the majority of research was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most studies were design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other psychological issues and it occupied 87.8% of the entire portion except for literature research on sham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qualitative research at all. Third, in terms of statistical metho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most(64.5%), followed by regression analysis (27.4%). Fourth, in terms of the use of measuring tools, Internalized Shame Scale were the most frequent used regardless of age, and Personal Feeling Questionnaire and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were the next frequently used. Finally, most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shame in relation to other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shame as a mediator. Also. there were the studies to verify the role of shame as an independent and dependant variable as 25.8%, 15.5% respectively. This study discussed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