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32.194
18.191.132.194
close menu
KCI 등재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toward Partner and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조영주 ( Cho Young-ju ) , 심은정 ( Shim Eun-jung )
상담학연구 18권 6호 179-202(2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690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파트너와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와 이들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공감의 매개효과는 파트너에 대한 공감 및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매개효과에 더하여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연속적 매개효과를 포함하였다. 연애 중인 대학생 남성 81명과 여성 129명으로부터 성인애착척도, 공감적 이해척도, 관계적응척도를 포함하는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와 성차를 검증하였고, PROCESS를 활용하여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불안애착은 남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고, 남성의 회피애착은 남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한편, 여성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모두 여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은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만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은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여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넷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이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모두 유의하였고, 효과 크기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연속적 매개효과는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여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to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gender differenc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cluded mediating roles of self-reported empathy to partner and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these variables. Questionnaires including Experiences of Close Relationship Scale,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and Dyadic Adjustment Scale were administered. Data from 81 male and 129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engaging in a dating relationship were analyzed utilizing path analysis and PROCES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attachment anxiety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male attachment avoidance significantly affecte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both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mong femal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empathy toward partner mediated only the relationship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s of femal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fe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empathy toward partner on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was significant for both males and females, and the effect size was larger in females than in males. Final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emal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fe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