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4.141
3.149.234.141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인 유학생 정신건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Mental Health Scale for Chinese Foreign College Students
오혜영 ( Oh Hea-young ) , 안하얀 ( Ha-yan An ) , 백상은 ( Sang-eun Baek )
상담학연구 18권 6호 473-497(2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04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특수성과 대학생들이 많이 호소하는 정신건강 문제를 반영하여, 정신건강의 병리적 측면뿐 아니라 긍정적 측면을 포괄하는 ‘중국인 유학생 정신건강 척도’를 개발·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척도들을 검토하였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내용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항내용을 보완하였다. 유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통해 보다 적합한 문항들을 선별하였다. 전문가 감수를 통해 확정된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인 유학생 787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준거 타당도,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검사 분석을 통해 보호영역 2요인(주관적 안녕감 6문항, 스트레스대처능력 14문항), 적응영역 3요인(학업적응 18문항, 생활적응 11문항, 관계적응 13문항), 일반증상영역 4요인(우울 8문항, 불안 8문항, 대인예민성 8문항, 신체화 9문항), 특수증상영역 6요인(인터넷사용 8문항, 섭식 8문항, 음주 8문항, 현실감각기능 6문항, 자살위기 8문항, 외상후스트레스 8문항), 총 141개 문항을 본 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의의와 상담현장에서의 활용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Mental Health Scale for Chinese Foreign College Students’, which included not only pathological aspects but also positive strengths by reflec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mental health issues they commonly present.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opinions on preliminary items were collected through Delphi survey;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supplement contents of items. Pilot test including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with 262 foreign college students to select appropriate items. To examine whether selected items were appropriate, main analysis including factor analysis, criterion validity,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with 787 Chinese foreig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141 items - 2 protective factors (6 subjective senses of well-being, 14 stress coping ability), 3 adaptation factors (18 academic, 11 daily life, 13 relational), 4 general-symptom factors (8 depression, 8 anxiety, 8 interpersonal sensitivity, 9 somatization), 6 specific-symptom factors (8 internet use, 8 eating problems, 8 alcoholism, 6 reality sense, 8 suicide crisis, 8 PTSD) - were presented as final item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