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8.247
3.141.8.247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Transition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school: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workers in the institutions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
주수산나 ( Joo Susanna ) , 김종우 ( Kim Jongwoo )
상담학연구 18권 6호 499-522(24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05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교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을 탐구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을 만나는 상담직무 종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4명의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들을 눈덩이 표집을 통해서 모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구술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해석하고 동료 및 참여자 검토를 거쳐 학교 밖 청소년의 전환 경험에 대한 주요 차원을 도출하였다.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진술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에는 1) 학생기 2) 숙려기 3) 전환기 4) 안정기라는 네 가지 시계열적 단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계별로 해당단계의 특성, 청소년들의 경험, 종사자들의 경험이 탐색 되었다. ‘학생기’에서는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배움’, ‘지루하고 경직된 학교’, ‘보이지 않는 문제들’이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숙려기’에서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학교 제도에 저항하기’,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문제들’, ‘학교 밖 탐색 및 대안적 제도와 조우’, ‘부정적 시선과 홀로 감당하기’, ‘학교 밖 청소년을 찾아 나서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환기’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이름표’, ‘학교 안에서 밖으로 나옴’, ‘학교 밖의 삶과 타인의 시선을 피하기’, ‘새로 얻게 된 자유의 무게와 막막한 미래’, ‘제도, 정서적 지지를 통해 손잡아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안정기’에서는 ‘다시 찾은 자신의 자리와 역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경험하고 미래를 기획’, ‘사회의 부정적 시선에 대한 염려 지속’, ‘대안적 삶을 또 다른 삶의 방식으로 인정해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개입이 폭넓은 범위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과 각 전환 과정 단계별 예방·개입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school among dropout adolescents and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practition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 workers in the institutions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peer and participant review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main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of dropout adolescents. As a result, there are four time-series phases of transition: 1) student period, 2) consideration period, 3) conversion period, 4) stabilizatio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the experiences of the youth, and the experience of the workers were discovered. In the ‘student period,’ the main theme was ‘everyday learning at school,’ ‘boring and rigid school,’ and ‘invisible problems.’ In the ‘consideration period,’ the main topic was ‘resisting school system in their way,’ ‘complex problems,’ ‘exploring outside the school and encountering alternative systems,’ ‘taking negative social gaze alone’ and ‘a search for outsiders.’ In the ‘conversion period,’ the title of ‘out of school name tag,’ ‘coming out from school,’ ‘avoiding life outside of school and other people’s attention,’ ‘the weight of new freedom and uncertain future,’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derived. Finally, during ‘stabilization period’ is related to ‘the position and role of self that found again,’ ‘experiencing the possibility of new life and planning the future,’ ‘continuing anxiety about negative views of society,’ and ‘accepting alternative life as another way of life.’ as grand princi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for dropout adolescents needs to be integrated into a wide range an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t each stage of implementation need to be construc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