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44.216
13.58.244.216
close menu
KCI 후보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이 이모티콘 사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Emoticons’ Usage Behavior
권희진(주저자) ( Kwon Hee Jin ) , 우주(공동저자) ( Yu Zhou ) , 허정윤(공동저자) ( Heo Jeong Yun ) , 허정윤(교신저자) ( Heo Jeong Yun )
UCI I410-ECN-0102-2018-600-004271555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폰의 확산과 함께 주요 의사소통 방식이 대면 의사소통에서 비대면 의사소통으로 이동한 현대 사회에서 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 중 맥락정보의 보완을 위해 사용하는 이모티콘의 사용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메신저 상에서의 사용 이모티콘의 유형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거리감에 대한 정의와 이모티콘의 유형별 구분 기준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관계 등에 따라 수신자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을 측정하고, 표현 가능한 이모티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단한 이모티콘의 디자인을 통해 심리적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먼 상사와의 관계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유형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신자와의 관계에 기반을 둔 심리적 거리감에 대해 이모티콘 유형의 사용 행태가 달라지고, 그에 따른 적합한 이모티콘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servation of this study is the range of communication between person and person is extended by mobile society, and through mobile messengers such as Kakao Talk, Line, and Wechat, we identified the type of emoticon listening device that people use while communicating. First, we classifi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n we looked at how the emoticons are distinguished by type and their definitions. The following survey measur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felt by the recipi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relationships, and learned about the expressible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ducted an additional study of simple emoticon patterns to see if other emoticon options were possible in a relationship with a company with many limitations regarding the use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 study suggests that for the psychological dist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receivers, the behavior of the type of emoticon should vary and that appropriate emotic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