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86.173
3.145.186.173
close menu
KCI 등재
‘쓰기’ 활동에서 ‘문법’ 사용하기
Utilizing Grammar in Writing Activities
양영희 ( Yang Young-hee )
작문연구 35권 73-98(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3739441

본 논의는 쓰기와 문법의 상호 통합 방안을 위해 마련된바, 문법 지식은 고쳐쓰기 과정에 기준으로 사용되며 이렇게 완성된 생산물은 문법 지식을 강화하는 텍스트로 작용한다는 논리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몇 가지 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먼저 국어 능력 신장에 기여하기 위한 문법교육학(계)의 다양한 노력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 수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교과서 분석을 통해 확인ㆍ반성하여 그 원인을 국어 활동 영역의 필요성과 무관하게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통합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리하여 발상전환의 태도로 쓰기 활동이 문법 지식을 필요로 하는가라는 물음을 제기하여, 고쳐쓰기 단계에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완성된 글을 수정해야 할 근거와 기준이 문법 지식이라는 의미에서이다. 이상의 생각이 타당함을 입증하기 위해 고등학생의 주장하는 글을 대상으로 하여 장르에 부합하는 표현 방식과 올바른 문장 쓰기에 관여하는 문법 지식이 무엇이고, 이러한 지식이 고치는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The current discussion aims to provide alternatives of mutually integrating writing and grammar. In the present study, it is suggested that grammatical knowledge is utilized as criteria while correcting a text, and in turn the output reinforces grammatical knowledge. The above sugges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observation. First, it is confirmed through text analysis that a wide range of efforts made by grammar educators are not accepted in the field appropriately.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because the integration has been concentrated on grammar separated from the necessity of language activities. Consequently, a question was raised whether writing activities necessitate grammatical knowledge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knowledge is needed for rewriting of a text.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the criterion of text correction is grammar knowledge. In order to confirm above mentioned suggestions, argumentative writing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shows which grammatical knowledge is involved in writing correct sentences and employing appropriate registers for the genre, and how this knowledge influences the correction of the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