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74.248
18.221.174.248
close menu
KCI 등재
중독회복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개입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Addiction Recovery
김나미 ( Kim Na-mi ) , 박경은 ( Park Kyung-eun ) , 장세은 ( Jang Se-eun )
상담학연구 19권 1호 113-128(1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36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최근에는 내담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직면시키는 치료방법보다 그들이 가진 강점과 잠재능력을 탐색해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긍정심리학적 치료접근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 회복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시도된 중독 회복 관련긍정심리학적 개입 관련 22편의 임상연구들을 문헌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알코올 중독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55.5 %, n = 12), 인터넷 게임 중독(36.5 %, n = 8), 약물 중독(4.5 %, n = 1) 및 도박 중독(4.5 %, n =1) 순이었다. 둘째, 1건 만이 중독 가족의 참여였고, 21건이 임상 집단 또는 잠재적인 임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연구에서 성인이 77%(n = 17) 청소년이 23%(n = 5) 참여했으며, 알코올전문병원 환자, 일반병원 환자, 노숙인 시설, 12단계 참여자, 보호관찰소, 대학생, 고등학생 및 중학생, 발달장애아동 등으로 다양한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넷째, 예술 치료, 행복 개선 개입, 자기 사랑 프로그램, 숲 치유(FT), 수용전념 치료, 전이 모델 및 영적 치유와 같은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활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각 프로그램은 3 회기부터 20 회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며, 약 60%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그룹으로 나뉘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연구들은 긍정심리학적 개입이 신체적, 주관적, 심리적 및 사회적 복지 증진에 효과적이며, 우울증, 불안 증상 및 중독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 효과는 단기 추적 관찰에서 부분적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연구에서는 중독에서의 긍정 회복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한국인의 정서와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긍정심리학적 개입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shown an interest in a positive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rapy that encourages clients to explore and use their strengths and potentials rather than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negative aspects of the client.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recovery of addiction, we reviewed 22 clinical studies on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related to addiction recovery in Korea since 20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on alcohol addiction (55.5%, n=12), followed by internet game addiction (36.5%, n=8), drug addiction (4.5%, n=1) and gambling addiction (4.5%, n=1). Second, only one study was involved with addictive families, and 21 studies were classified as clinical or potential clinical groups. Third, 77% (n=17) studies were performed on adults and 23% (n=5) were conducted o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various group of subjects from hospitals specializing in alcohol addiction, general hospitals, homeless facilities, 12-step program participants, probation centers, university,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 various therapeutic approaches such as art therapy, happiness improvement interventions, self-love programs, forest healing (FT), confocal therapy, transition model and spiritual healing were utilized. Fifth, each program ranged from 3 sessions to 20 sessions, and about 60% of the session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Finally, all studies have shown that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promoting physical, subjec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and help to reduce depression, anxiety symptoms and addi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artially preserved in short-term follow-up observations.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focus on establishing a systematic theoretical framework of recovery using positive psychology, and develop long-term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form to Korean cultures and perspectives to validate the efficacy of positive interventions in addiction treat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