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4.159
3.149.24.159
close menu
KCI 등재
언어 네트워크 연구를 통해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 ―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Historical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through Linguistic Network Research: Focusing on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허수 ( Hur Soo )
인문논총 75권 1호 121-176(56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3953767

이 글에서는 계량적이고 거시적 접근을 통하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역사인식을 나타내는 용어 16개를 선정하여 이 용어들의 빈도 양상과 이 용어가 중심이 된 연결망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근대사 서술과 근현대사 서술 사이에는 사용되는 용어의 종류와 빈도의 분포 등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연결망 구조를 볼 때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제3기에 이르러 ‘민족’, ‘독립’, ‘운동’, ‘전개’를 핵심으로 하는 연결망이 근대사회 운동의 맥락에서 ‘사회’ 및 ‘농민’과 접속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연결 관계를 ‘내재적 발전’에 근거를 둔 역사인식의 핵심 구조로 판단 했다. 결국, 교과서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은 제3차 교육과정에서 등장하여 제5차 교육과정에서 확고하게 정착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was examined through a quantitative and macro approach. Sixteen terms representing historical recognition were selected, and the frequency of thes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centered on these term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 remarkable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s of terminology used and the distribution of frequencies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descriptions.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we can see that in the third period, the network of ‘min-jog’ (nation), ‘dog-lib’ (independence), ‘un-dong’ (movement) and ‘jeon-gae’ (development) was connected with ‘sa-hoe’ (society) and ‘nong-min’ (peasant) in the context of modern social movements. The connected relationship thus formed was judged to form the core structure of historical recognition based on ‘internal development’.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in textbooks appeared in the third curriculum and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fifth curriculu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