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52.23
18.188.252.23
close menu
KCI 등재
메이지 군가와 쇼와 군가·군국가요의 언어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병사의 메타포·어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Linguistic Expressions through Military Songs of the Meiji Eras and Military Songs·Militarism Songs of the Showa Eras-Focusing on Soldier's Metaphor·Vocabulary-
이유희 ( Lee Yu-hee )
UCI I410-ECN-0102-2018-800-003749883

본고에서는 메이지(明治) 군가 80 곡과 쇼와(昭和) 군가 · 군국가요 140 곡을 대상으로 ‘병사’에 대한 언어 표현에 포커스를 두어 메타포 · 어휘의 종류와 특징, 출현 배경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메이지 시대에는 93 곡에서 총 37 종류의 메타포·어휘가 나타나고 있는데, 「丈夫ますらお/軍いくさ·皇御軍すめらみいくさ·大御軍おおみいくさ/武士もののふ·武夫もののふ/兵つわもの·兵士つわもの/男おのこ/醜しこの御楯みたて」등과 같이 다양한 고어 (특히 와카에서 다용된 어휘)의 활용에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신체시 (新體詩) 및 메이지 군가의 창성자 도야마 마사카즈(外山正一)의 와카에 대한 계승 의식에서 출발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천황제 시스템·이데올로기’를 표방하는 동시에 ‘봉건적 군신관계와 봉건 무사정신·도덕으로의 복귀와 각성’ 통해 발현되어진 이른바 ‘헌신·죽음의 각오와 의무를 요구하는 언어코드’로써 활용되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포·어휘 외에도 서양의 근대 군대 제도의 수용과 징병제 실시를 배경으로 메이지 제국 국가의 신 군대- 육 · 해군의 활약과 역할의 홍보에 중점을 둔 ‘병(兵へい)’의 어휘가 메이지 시대에는 빈출되고 있다. 또한 ‘군신(軍神ぐんしん)’의 용어가 다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이 아마테라스오가미('天照大神)에 의해 건국 된 ‘신국(神國) 사상'과 천황을 현인신(現人神あらひとがみ)으로 신격화하고, ‘전사 = 군신’이라는 '국가 신도(國家神道)의 신앙’이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쇼와기에 있어서는 96 곡에서 총 39 종의 메타포·어휘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고어 (와카 어휘)가 빈번히 활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메이지 시대의 패턴이 그대로 답습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군가집을 통해 주로 지식인 계층에 의해 널리 보급된 메이지 군가에 비해 쇼와 군가·군국가요는 국가권력의 미디어·언어통제에 의해 생산된 ‘국가 이데올로기 장치’이자 ‘정부 주도의 Top-down형 메커니즘’으로써 활용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메이지 시대와의 차이점으로 주목해야할 점으로써는 ‘용사(勇士)’와 ‘독수리(鷲)’의 단어의 사용빈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이다. ‘용사’는 ‘폭탄 삼용사(爆彈三勇士)의 영웅 미담을 계기로 화제가 되어 관·군·언론 미디어의 협력에 의해 현상 공모곡 발표로 대유행한 것이다. ‘독수리(鷲)’는 쇼와기에는 육·해군 항공 부대명으로도 사용되었는데, 독수리의 국장(國章)과 제복 등을 사용한 나치 독일을 추종하여 활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태평양 전쟁의 발발과 함께 특공의 항공대원이 되었던 ‘독수리’와 , ‘젊은 독수리(若鷲わかわし)’(청소년부대)는 ‘승리’, ‘용맹’의 상징 뿐 만 아니라 ‘특공·자폭’의 메타포로써 표출 되었다. 전후에는 전시 유행어 '若鷲'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이는 「독수리 오형제(科學忍者隊ガッチャマン)」애니메이션이 방송되어 대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사키모리의 노래(防人の歌)」에서 차용된 ‘시코노 미타테(醜の御楯)’, ‘미타테(御楯)’는 신풍특별공격대(神風特別攻擊隊)의 부대명(第一御楯~第7御楯)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메타포는 총력전을 위한 ‘국가·국민 총동원’과 ‘1억 옥쇄’, ‘1억 특공’ 과 같은 정치적 슬로건을 내세운 고노에(近衛)-토조(東條)-고이소(小磯) 내각의 ‘군국적 시스템·조직과 이데올로기’를 극명히 표방하고 있다. 이것은 ‘독수리(鷲)’ 와 ‘젊은 독수리(若鷲)’와 같이 ‘특공·자폭의 각오와 의무를 요구하는 언어코드’로써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oldier's linguistic expressions(metaphor·vocabulary) via 80 military songs in the Meiji era and 120 military songs·militarism songs in the Showa era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Meiji era military songs, ① masurao(丈夫ますらお·大丈夫ますらお·勇者ますらお)·masuratakeo(ますら猛夫たけお), ②ikusa(軍いくさ)·sumeramiikusa(皇御軍すめらみいくさ)·oomiikusa(大御軍おおみいくさ)·miikusa(御軍みいくさ·皇軍みいくさ)·ikusabito(軍人いくさびと), ③mononohu(武士もののふ·武夫もののふ), ④hei(兵へい)·suihei(水兵)·kouhei(工兵)·houhei(砲兵)·hohei(步兵)·kihei(騎兵)·shicyohei(輜重兵), ⑤tsuwamono(兵つわもの·兵士つわもの·つわもの), yamato otoko(大和男子おとこ·日本やまと男子おとこ·大和男子おのこ·日本やまと男子おのこ), ⑦gunshin(軍神ぐんしん), yushi(勇士), kaigun(海軍)·rikugun(陸軍)·gunzin(軍人ぐんじん)」, ⑩cyushin(忠臣), shiko no mitate(醜の御楯), ⑫other busha(武者), eiu(英雄)、gouketsu(豪傑), and keshi no shi(決死の死) were used in 93 songs. In the case of the Showa era military songs·militarism songs, the metaphor and vocabulary of a total of 37 typ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as the followings: ①masurao(丈夫ますらお),yushi(勇士),③washi(荒鷲·海鷲·神鷲·赤鷲),④tsuwamono(兵つわもの·强兵·强者·武士),⑤ikusa(軍いくさ)·miikusa(皇軍みいくさ)·shumeraikusa(皇軍すめらいくさ)·kuwaugun(皇軍くわうぐん), ⑥kami(神かみ)·gokoku no kami(護國の神)·mamori kami(守り神)·ikusagami(軍神いくさがみ)·uzigami(氏神)·shinpei(神兵), ⑦nipon danshi(日本男子にっぽんだんし)·nipon danzi(日本にっぽん男兒だんじ), ⑧kougun(皇軍こうぐん), umi no onoko(海の男)·yamato onoko(大和男子)·onoko(男の子·男兒), shiko no mitate(醜の御楯)·mitate(御楯)·tate(楯), ⑪hei(兵へい)·hohei(步兵)·(kouhei(工兵), ⑫mononohu(武士もののふ), ⑬buzin(武人), hashira(柱), ⑮ other gunzin(軍人), senshi(戰士), and kaitakusi(開拓士) were used in 59 songs. Rhetoric technique of archaic words(words particularly used in the Waka) such as ‘masurao (丈夫ますらお)’·‘ikusa (軍いくさ) ’· ‘mononohu (武士もののふ)’ ·‘tsuwamono (兵つわもの)’·‘shiko no mitate (醜の御楯)’, representing soldiers in the military songs of the Meiji era was originated from recognition of succession to Waka by Shoichi Toyama, creator of the new style poetry and Meiji military songs. During the Meiji era, such metaphors principally implied ‘Emperor System · Ideology' were mainly used as ‘language codes requesting for resolution and duty of dedication·death (= Japanese nationalism)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feudal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s and return to the feudal samurai spirit·morality.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Meiji and Showa period is that the metaphor and vocabulary such as ‘yushi(勇士)’, ‘washi(鷲)’, ‘waka washi(若鷲)’ and ‘shiko no mitate(醜の御楯)’ emerged. These imply ‘the military system·organization and ideology’ of Konoe - Tojo - Koiso cabinet which pushed the political slogan such as ‘Nation and National mobilization’, ‘100 million honorable death’, ‘100 million kamikaze attacks.’ It can be said that those expressions have played a role as ‘language codes for seeking resolve and obligation of kamikaze attack · suicide bombing like ‘washi(鷲)’ and ‘waka washi(若鷲).’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