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30
3.137.218.230
close menu
KCI 등재
1960~70년대 소설에 재현된 주체의 인정(認定)투쟁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subject's Recognition Struggle Represented in the 1960~70 Novels
이평전 ( Lee Pyeong-jeon )
영주어문 38권 131-155(25pages)
DOI 10.30774/yjll.2018.02.38.131
UCI I410-ECN-0102-2018-700-003738507

1960~70년대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주체’는 자본과 국가권력으로부터 배재되는 이중의 모순 상황에 직면한다. 그 과정에서 개인/집단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인정투쟁’의 장이 만들어 진다. 주체의 인정투쟁은 타자에 대한 무차별적 공격이나 자신의 이익을 위한 극단적이고 이기적인 행위가 아니라, 자기 존중에 반응하는 일종의 자기 치유적 성격을 갖는다. 동시에 그것은 폭력을 휘두르는 사회를 치유하기 위한 집단적이고 도덕적인 행위라는 점에서 이 시기 사회에 대한 문학적 대응과 동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악셀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認定)이론을 바탕으로 주체의 인정과 무시 양상을 재현한 1960~70년대 소설을 살피고 있다. 사물화로 상징되는 자본주의적 상품교환과 노동과정의 합리화에 의해 만들어진 인격체는 필연적으로 주체와 객체의 이원적 분리를 전제로 한다. 이 시기 소설은 객관적 인식태도에 의한 인정망각과 반공이데올로기와 냉전체제가 추동하는 인정욕망에 대한 자극과 생존 문제, 산업화 과정에서의 계급형성에 따른 인정욕망의 실천 전략과 분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이 시기 주체들이 인정욕망에 대한 해방과 이데올로기적 억압에 직면해 있는 모순적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악셀호네트의 인정이론에서 1960~70년대 소설을 새롭게 읽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다만 이데올로기적 의식 형태가 부정의의 근원 인식 및 그에 대한 저항의 전망이 초래하는 제약과 문제의식의 부재에 대한 논의로 축소되거나 생략될 때, 그 이론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한계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인정이론의 문학적 적용은 이 시기 텍스트를 둘러싼 실천 담론의 이분법적 평가의 경직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의미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subject, who began to emerge anew in the 1960s and 1970s, faces double contradictions that underpin both capital and state power. In doing so, a ‘struggle for recognition’ is created to identify the personsgroup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by the principal is not indiscriminate attacks on others or extreme or selfish to one's own interests, but rather has a kind of self-repairing nature that responds to self-respection.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an important way to understand the literary response and the power of society at this time in terms of its collective moral conduct to heal its violent societies. In this paper we explore novels of the 1960s and 1970s that reproduce the subject's perceptions and neglect based on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The human body formed by the rationalization of the labor process and the capitalist commodity exchange symbolized by the privatization of things is necessarily based on the dual-differenti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novel at this time reveals strategies for the exercise of compassion and disassociation by objective recognition attitudes, stimuli on the desire of anti-communist ideologies and cold war to recognize, survival issues, and class formation in industrialization. This can be seen as an oxymoron against the desire for compassion and the face of ideological repression. Axel Hornet's Theory of Recognition also reveals a new possibilities of reading novels of the 1960s and 70s. But when the ideological pattern is narrowed or omitted by the discussion about the lack of constraints and problem 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perception of the origin of the negative,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is consistent. Still, the literary application of recognition theor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useful clue to escape from the rigidity of the dichotomous assessment of action discourse surrounding text at this tim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