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26.105
18.118.226.105
close menu
KCI 등재
일제강점기 충북의 연극
Chungbuk theatre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임기현 ( Im Gi-hyeon )
영주어문 38권 157-185(29pages)
DOI 10.30774/yjll.2018.02.38.157
UCI I410-ECN-0102-2018-700-003738512

극 양식은 시, 소설과 더불어 인류의 보편적인 예술장르로 존중받아 왔지만 한국에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현장의 공연행위와 분리될 수 없는 극 양식의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 특히 지역 연극은 중앙 중심의 연극사에서 누락되어 왔다. 사적 기술을 위해 필요한 자료수집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10년대부터 지역에서도 근대적인 극 양식이 존재해왔고, 경향 각지의 각 극단들이 대등한 입장에서 활발히 교류하였으며,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초반까지 소인극이 크게 활성화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극 양식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의 지역 연극 나아가 한국 연극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실증주의에 입각하여 일제강점기 충북지역 연극 활동의 실체와 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성격 규명을 통해 본격적인 연극사 기술의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했다.

In Korea, play has been neglected compared to other genres. In general, plays are completed with performances of plays. Therefore, it can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specific theatrical act performed in the local scene. In Chungbuk, drama-related activities were more active than any other re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generation of the modern drama. From 1916, when the Aeng jwa(앵좌)-Theater was established in Cheongju, various theatrical performances were performed to perform a Sinpageuk. It can be said that it influenced the amateur-theatricals of local provincial actively from the 1920s. In the Chungbuk area, amateur-theatricals actively since the early 1920s. The subject of the drama was young people belonging to youth group. From early on, touring with other plays was performed. In 1937, the Post-Japan Plays appeared in the Chungbuk area as the boundary of the China-Japan wa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