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29.253
3.149.229.253
close menu
KCI 등재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A Study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the 17th Korean
최대희 ( Choi Dae-hee )
영주어문 38권 71-92(22pages)
DOI 10.30774/yjll.2018.02.38.71
UCI I410-ECN-0102-2018-700-003738567

이 연구에서는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를 대상으로, 변천과 상관성이 있다는 전제 하에 형태·통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먼저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목록을 설정하였다.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목록 설정은 우선, 기존의 연구에서 설정한 목록을 먼저 살펴본 후, 이들 목록에서 어찌말의 기능이 있는 매인이름씨를 모두 선별한 다음, 주 기능이 어찌말처럼 기능하는 매인이름씨를 선별하여 목록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목록으로 설정한 매인이름씨를 이전 시기, 이후 시기에 나타나는 매인이름씨와 비교하여 소멸된 것, 유지되고 있는 것, 생성된 것으로 나누어 목록을 분류하였다. 설정한 목록은 ‘□(□시), 대(로), 듕, 만1, 만2, 적(제), 죡죡(족족), 즉, 톄(체)’이다. 다음으로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형태·통사적 특성과 변천이 연관성이 있다는 전제 하에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형태·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매인이름씨는 대체로 제약이 많지는 않아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형태적 제약은 매인이름씨를 분류하는 기준의 역할을 하는 듯하고, 통사적 제약은 매인이름씨 변천의 정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듯하였다. 형태적 제약으로 주로 영형태소가 결합하거나, ‘-의, -에, -□, -브터’ 등이 결합하면 대체로 어찌말 매인이름씨로 분류되고, 통사적 제약으로 선행 요소의 통합, 즉 임자씨나 매김법이 통합하느냐에 따라 변화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설정한 목록을 검증한 결과, 매김법 제약이 없을수록 변화의 정도가 크지 않고, 매김법 제약이 있거나, 임자씨가 통합하는 경우에는 변화의 정도가 매김법 제약이 없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정리하면, 제약적 환경은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변천과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17th Korea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t up the list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17th Korean. The list setting is listed in the existing study which first classified dependent nouns by function. And then, were verified a dependent nouns functioning mainly as adjectives in this list. After the selection, the list is classified into the annihilated, maintained, and generated by comparison with dependent noun appearing in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eriods. As a result, set up a list such as ‘□(□시), 대(로), 듕, 만1, 만2, 적(제), 죡죡(족족), 즉, 톄(체)’. Secondly, consider that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related to the changes, and examine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17th-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generally not much constrained, and no major changes have occurred. Morphological constraints seem to play a role in classifying adverbial dependent nouns, and syntactic constraint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dependent noun transitions. In conclusion, the constrained environment is considered to b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