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우수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이 교사 자율성에 미친 영향 분석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Policy on Teacher Autonomy
김정아 ( Jeong-a Kim )
UCI I410-ECN-0102-2018-300-004000535

본 연구에서는 자율형 사립고 정책이 교사 자율성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4주기(고등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정책변수인 학교유형, 교사 개인의 인적 특성 및 심리·정서적 특성, 학교고정특성 및 조직문화특성을 차례로 투입하는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율형 사립고에 재직하는 교사가 일반고에 재직하는 교사에 비해 교사 자율성이 더 낮았으며, 이는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높이고자 도입된 자율형 사립고 정책이 정책 목적을 달성하는 데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가 입시로 인해 수업지장이 많다고 인지할수록 교사 자율성이 낮다는 분석 결과는 입시 중심의 교육체제가 교사 자율성을 제한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국·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 교사의 자율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사립학교의 교사 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 협력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들이 업무 및 학생지도, 수업 등과 관련하여 서로 돕고 협력하는 문화가 잘 정착된 학교에서 교사들의 자율성이 더 잘 발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경쟁과 시장논리를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조류 속에서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교육적 가치와 학교 교육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천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policy on teacher autonom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employed as an analytic method. First, results obtained after entering school type as a policy variable indicated that teacher autonomy i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was lower than in general high schools, and this implied that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policy which aimed to improve autonomy in schools can be regarded as policy failure. Second, the level of autonomy of teachers who acknowledged tha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disrupts school education was low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 not. Third, teacher autonomy in private high schools was lower than in public high schools. Thus, the reason why teacher autonomy in private schools was lower than public school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ies and the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eacher autonomy in private schools. Last, teacher collabor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 autonomy. It indicated that teacher autonomy in schools where teachers are more likely to collaborate each other regarding student-guidance and instruction was higher than in schools where teachers are less likely to collaborate. Thus, the study suggested that, in a neoliberal tide that emphasizes competition and market logic, school education can achieve its goal and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 through collaboration instead of competi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