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09
3.141.31.209
close menu
KCI 등재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적응을 위한 도우미 제도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to Utilize the Peer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Maximize their Academic Adjustments
박윤정 ( Park Youn-jung ) , 서효정 ( Seo Hyo-jeong )
DOI 10.23944/Jsers.2018.03.57.1.8
UCI I410-ECN-0102-2018-300-003925140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A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등록한 장애대학생(34명)과 도우미 학생(34명)을 대상으로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적응을 위한 도우미 제도에 대한 실태 및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대학생 도우미 지원 제도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장애대학생과 도우미가 인식하는 지원 서비스에 대한 필요도, 실행도, 만족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각각 기술통계와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장애대학생 도우미 지원 요청사항은 학습지원과 교내 이동지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고, 도우미의 실질적 지원활동은 학습지원 및 일상생활에 대한 지원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 대학생들의 도우미 활동 참여계기는 장애학생의 직접적인 요청과 주변인의 권유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도우미 지원에 대한 장애학생의 만족도와 도우미학생의 활동에 대한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도우미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학습지원, 타인과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지원, 식사 관련 일상생활 지원 순으로 활동 수요가 높았으며, 도우미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 걸쳐 필요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도우미 학생의 실질적으로 실행한 지원 활동은 식사 관련 일상생활 지원, 학습지원, 타인과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지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우미 학생이 인식한 실질적 실행도 수준은 장애학생이 인식한 만족도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using data collected from 34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34 peer supporters signed up for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ne of the universities in Gyeonggi provinc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the peer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Specificall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dentified an overall situation on how the peer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utilize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ddressed stakeholders’ (i.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ical peer supporters) perceptions on how much support was needed and implemented across various domains to maximize academic adjust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how much stakeholders were satisfied with each domain addressed abov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entrated on academic support and mobility support in campus, while peers actually provided supports for academics and daily living activities. Peer supporter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ue to direct requests fr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eer support program. Seco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ported that academic suppor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upport, and daily activity support especially when having meals were the domains in higher demands in order.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ecessity levels they reported across the domains. Meanwhile, supports that peers actually provided targeted for daily activities related to meals, academics, an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order. The extent to which the supports were actually provided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atisfied with supports given by their pe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