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2.179
18.117.182.179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의 ‘중국조선족’ 인식에 대한 성찰
Reconsidering the Knowledge of 'Korean-Chinese' in Korea
김창규 ( Kim Chang-gyu )
감성연구 16권 179-208(30pages)
DOI 10.37996/JOG.16.7
UCI I410-ECN-0102-2018-100-003961502

중국과 한국의 근대 국민국가 형성의 과정에서 경계인(집단)으로 위치 지어지며 존재했던 조선족의 역사와 정체성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각은 그들의 실존적 상황 및 문화를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여전히 국민국가의 필요에 의해 소환, 소비, 활용되어지고 있다. 우리는 식민지화 과정 및 식민지 상황 속에서 그들을 항일 연대 투쟁의 상징으로 형상화했고, 중국내에서 활동을 부각시켜왔다. 반면에 조선족-중국인으로서 실제적 삶과 디아스포라로서 피할 수 없었던 포섭, 배제, 무관심의 대상이자 늘 끼어 있는 존재로서 경계인은 외면했다. 한중 수교 후 중국과의 정치, 경제, 문화적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 전개되어 관계 개선을 촉진하고 있다. 그러나 교류와 협력의 이면에는 여전히 한국사회 내 국민국가의 질서를 위협하는 경계인, 이방인, 주변인으로서의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연대와 혐오, 친선과 적대의 이중적 사태는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한 사례로서 조선족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국민국가의 틀을 넘어서 보다 건설적이고 상생하는 한국인 디아스포라 공감장을 위해서 어떤 입장과 실천을 해가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던져준다.

The Korean-Chinese were positioned as marginal men (group) during the process of the modern nation-state building of China and Korea, and their history and identity from a view of our society have been called, consumed, and used under the necessity of the nation-state,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ir existential situation or culture. As we see through Jeung Yul-seong, we embodied him as a symbol of joint struggle against Japan during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colonization, and focused on his activities within China. And, we turned away from his actual life as Korean-Chinese, subsumption and exclusion unavoidable as the diaspora, and a target of indifference as the existence of marginal man being between at all times. Since socialism China, the Korean-Chinese have lost their identity as racial minority. Korea tries to promote relationships with China through the mediation of Jeung Yul-seong under the necessity for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China. But,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still negative image of the Korean-Chinese as a marginal man, or stranger threatening the nation-state order in Korean society behind the matter of the cooperation and exchanges. The twofold situation of solidarity and hatred, and friendship and hostility shows a social recognition to the Korean-Chinese as a case of Korean diaspora, which gives us a question of what stance and practice we should maintain for the sympathetic field of the Korean diaspora which is more constructive and cooperative beyond the frame of the nation-stat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