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87.199
18.226.187.199
close menu
KCI 등재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과 학교생활 실태: 고등학교 통합교육 내실화를 향한 문제 정의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t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조성지 ( Seongji Cho ) , 박승희 ( Seung Hee Park )
DOI 10.35361/KJID.20.1.2
UCI I410-ECN-0102-2018-300-00402849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과 학교생활의 실태를 특수학급 교사들 대상으로 질문지로 조사하여 우리나라 ‘고등학교 통합교육 실제’의 문제를 진단하고 정의하는 것이다. 2015년 11월 기준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설치교의 전부인 84개교의 특수학급 교사 244명 모두를 전수 조사하여 회수된 69개교의 181부 응답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응답 결과, 특수학급의 학생 수는 법정 인원인 7명을 초과한 경우가 33.70%였고, 일반교사와 비장애학생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대체로 수용하였다. 전일제 특수학급 배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생의 문제행동과 학부모의 요구였다.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하는 수업 내용은 ‘진로와 직업’이었다. 주지교과 수업에는 교사가 제작한 학습지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고 특수학급 수업에 대한 평가내용을 NEIS에 입력하지 않는 교사가 과반수가 넘었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 영역은 주로 생활지도 및 행동문제이며 학업 및 교과지도는 최하위에 속했다. 통합 점심시간은 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 유효하나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였으며, 일반학급 조회나 종례시간에의 참여나 통합동아리활동은 비교적 잘 이루어졌고, 특수학급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통합수업 교과들의 중간 및 기말 고사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수업 실태와 통합수업 및 그 외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종합적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면서 우리나라 고등학교 통합교육 실제의 개선 대책 마련을 위한 문제들을 판별하고 정의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struc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181 questionnaires returned from 69 high schools was conducted. The issue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ack ground information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teachers; second, on the special teachers’ view of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s; third, on the instructional practices implemented i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fourth, on the conditio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ther school life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some issues and problems identified with the survey results and suggest some directions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practices implemented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special and inclusive classes. This study delineates issues and implications for the betterment of high school inclusive education and call for an urgent attention on the various problems and difficulties related with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t high schools in South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