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5.173
3.144.105.173
close menu
KCI 등재
기하학적 공간감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ying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 Focused on Simulation -
이진영 ( Lee Jin Young ) , 김혜경 ( Kim Hye Kyung )
UCI I410-ECN-0102-2018-500-004268437

현대사회는 학문과 예술 분야의 예술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서로의 특성을 차용하는 융·복합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패션디자인도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며 새로운 작품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평면 회화나 건축의 특성 및 디자인의 요소를 패션디자인에 접목하는 노력과 시도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접근이 회화와 패션 또는 건축과 패션이라는 두 영역간의 유사성이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는 단편적 활용에 지나는 않음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의 구축적인 요소를 패션디자인 작품에 표현하고 회화를 작품의 모티프로 활용함으로써 건축과 회화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공간감과의 연관성을 진단하며 전개하고자하였다. 기하학적 공간감을 사회학적인 공간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개념에서 분석하여 4가지 특징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직선의 기하학적 공간감은 피터 핼리의 회화 작품을 사회학적 공간감에서 도출한 4가지 특징으로 분석하였고, 건축의 토마스 헤더윅의 작품을 통해 사회학적 공간감의 4가지 특징으로 곡선의 기하학적 공간감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인이 사회에서 경험하고 있는 공간이 시뮬라크르로 대체된 기하학적인 공간임을 이해하고, 회화, 건축에서 시뮬라시옹의 기하학적 공간감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직선의 기하학적 공간감과 곡선의 기하학적 공간감을 본 연구자의 회화작품에 활용한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의 조형성 연구 외에 동시대 사회적 의미의 공간에 주목하고, 건축물의 실내장식과 관련된 그림이 옷이 되는 과정, 그 변화하는 과정의 공간을 관람자와 공유하는 확장된 경험을 통해 경계 구분 없는 소통의 열린 공간에 관한 시도는 본 연구가 갖는 의의라 사료된다.

Architecture and fashion design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as the perception of a space surrounding a human being's bod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and develop a correlation with a geometric space perception, which appears in architecture and painting, because a constructive element is being expressed in a fashion design work and because painting is utilized as a motif of a work.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putting a theoretical ground for understanding the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as the sociological space in 4 features, which were analyzed by Jean Baudrillard's simulation concept. This study could lead to understanding that the space grasped by modern people in society is the geometrical space replaced with simulacre, and to knowing that the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in simulation is shown in painting, architecture, and fashion. This study aims to make originative fashion-design works through applying it to researcher's painting works.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 attempt for the open space of communication as performance art without a division of boundary through the extended experience of sharing time and space in the process that a picture becomes clothing, and in its changing process, with viewer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social space other than a research of formativeness in the geometrical for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