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9.211
3.133.109.211
close menu
KCI 등재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장소 특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ite-specificit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김세진 ( Kim Se Jin )
UCI I410-ECN-0102-2018-500-004268442

현대 패션쇼는 패션 시스템의 변화, 디자이너의 표현적 욕구, 지역 사회의 요구 등이 반영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선보이고 있다. 또한 현대 패션쇼는 전형적 형태의 패션 프레젠테이션에서 벗어나 총체적 공연예술로서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장소에서 열리고 있는 패션쇼를 주목하고, 패션쇼와 장소가 어떻게 관계하는지 장소 특정성의 개념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대 패션쇼에서 장소 특정성의 개념을 도출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2010년부터 2017년 12월까지 121개의 패션쇼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현대 패션쇼에서 장소 특정성은 패션쇼를 위한 의상제작에서부터 연출 되기까지의 과정이나 효과에 장소성이 관여된 실천을 말한다. 선행연구에서 장소 특정성의 특성을 유사 및 공통 개념으로 범주화하여 물리적 경험, 사회문화, 공적 영역 등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장소 특정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쇼는 특정 지역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의상을 제작하고, 그 장소를 패션쇼의 공간 연출을 위한 장소로 다시 활용하거나, 지역의 기후, 지형성, 건물의 역사나 조형적 특성 등을 패션쇼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독특한 패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물리적 경험의 장소 특정성을 나타냈다. 둘째, 현대 패션쇼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장소 특정성은 갤러리, 거리, 광장, 역 등에서 확인되었다. 장소가 나타내는 사회문화적 상징성은 패션 브랜드와 디자이너의 정체성 및 메시지와 연결되었다. 셋째, 현대 패션쇼는 실천하는 행위 자체가 공적 영역에 편입되는 공적 영역의 장소 특정성을 나타냈다. 현대 패션쇼는 패션쇼가 열리기까지 과정동안 지역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사회문화의 영역에 관계하고, 나아가 새로운 장소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공적 영역의 장소 특정성을 나타냈다. 현대 패션쇼에서 장소는 패션쇼나 의상제작의 영감의 원천이 되거나 창조적 패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도구적 가치가 있다. 또한 패션쇼는 장소 특정성을 통해 일상의 공간을 재발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관객과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매개체로써 사회적 가치가 있다.

Modern fashion shows are being held in various places and shifting from the concept of presentation in stereotypic space to the concept of performing ar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lace can be related to fashion through site-specificit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place and site-specific art to derive the concept and types of site-specificity in modern fashion shows. According to research, site-specificity in modern fashion show is defined as the practice in which the meaning of place is involved in the process and effect from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show.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pecificity of modern fashion shows according to physical experience, socio-cultural place, and public area, which are derived from preced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fashion shows are inspired by specific local cultures and are used to reuse them as venues, or to connect by the climat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history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ith the theme of the fashion show. Secondly, socio-cultural place specificity in modern fashion shows was confirmed in galleries, streets, stations and the socio-cultural symbolism of the place was connected with the identity of fashion brand and designer. Third, the modern fashion show reveal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ce as public spaces in which the act itself is incorporated into the public area. The modern fashion show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new place image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area. In a modern fashion show, a place is a tool value that can produce a creative fashion image. Also, in the fashion show, the site-specificity confirmed that it has social value as a medium to form bond with the audi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