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32.160
3.144.232.160
close menu
KCI 등재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한 대도시권 스프롤 측정: 광주광역시권을 사례로
Metropolitan Sprawl Measures Using Multi-Facility Accessibility: A Case Study of Gwangju Metropolitan Area
양재석 ( Jeasurk Yang ) , 송하진 ( Hajin Song ) , 강경빈 ( Kyeongbin Kang ) , 권민지 ( Minji Gwon ) , 신휴석 ( Hyu-seok Shin )
DOI 10.21189/JKUGS.21.1.6
UCI I410-ECN-0102-2018-300-004038742

접근성을 이용해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택과 시설 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바탕으로 한다. 접근성 가운데 ‘복합시설 접근성’은 다양한 시설들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복합시설 접근성 연구는 근린권 내지 도시권 스프롤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도시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으로 확장하지 않을 경우, 대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과 인접 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낳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하여 대도시권 스케일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기존 방법을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한다. (1) ‘연구 자료’ 측면에서는 자료를 스케일 별로 세분화하였고, (2) ‘계산 방법’ 측면에서는 기존의 K-근접 시설 접근성 방법을 대도시권 스케일로 확장하였다. (3) ‘연구 지역’ 측면에서는 인접 도시권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일부가 아닌 전체 대도시권 지역을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법은 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 스케일까지로 확장하고, 스프롤 관리와 정책 입안을 보다 포괄적으로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Measuring urban sprawl with accessibility approaches is based on measuring interactions between housing and facilities in cities. Among them, multi-facility accessibility is noteworthy in that it measures the interactions directly using various kinds of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existing methods of multifacility accessibility, up to now, have been applied only on local and urban scale. Without being applied on metropolitan scale, the methods could not measure influence of metropolitan area and that of adjacent urban area. Based on the limit, this study develops a method for measuring sprawl on metropolitan scale using multi-facility accessibility.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s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in three ways. (1) This study subdivide research data on scales, and (2) expand the existing K-nearest facility accessibility to metropolitan scale. (3) The authors set the whole metropolitan region as research area to measure the influence of adjacent urban area.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tends the measures to metropolitan scale, which would make sprawl management more comprehens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