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30.13
52.14.130.13
close menu
KCI 등재
조선후기 단군담론의 전승과 변용-한국 개신교선교사의 단군이해와 근대 초기 학술사의 일면-
The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Dangun Discourse in Late Chosun
이상현 ( Lee Sang-hyun )
반교어문연구 48권 163-192(3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3735827

본고의 목적은 19세기 말에서 1910년대까지 한국개신교선교사의 담군 담론을 조망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집성, 혼재되어 있던 단군에 대한 당시의 전승양상과 변용의 모습을 살피고자 했다. 한국 개신교선교사들은 『동국통감』과 『동국역대총목』으로 각기 대표되는 조선 전기와 중후기의 역사서를 통해 단군을 접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게일, 헐버트 등 한국개신교 선교사들에게 단군은 ‘개국 시조’와 ‘문화 군주’라는 두 가지 형상이 혼재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선교사들은 『삼국유사』 소재 단군신화를 가장 정통성 있는 역사 기록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그들은 어디까지나 『동국통감』을 비롯한 조선 시대 역사서를 통해 전승되던 단군 신화를 기반으로 한 구한말 역사교과서의 단군 담론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국의 역사를 살피는 학술적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선교라는 차원에서도 단군신화를 주목했다. 기독교의 삼위일체론, 유일신 관념과 성육신 예수를 한국인에게 설명하기 위해, 단군 신화는 매우 유용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1910년대 대종교가 편찬한 『신단실기』는 이러한 개신교선교사의 선교목적에 더욱 부합한 텍스트였다. 그렇지만 게일이 이러한 대종교의 사료집을 수용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다. 먼저, 『동국통감』에서 소거된 환인-환웅-단군의 계승관계를 ‘환인=환웅=단군’이라는 성삼위일체의 관계로 변모시켰다. 이를 통해 환웅의 종교적 교화라는 치적은 곧 단군의 치적이 될 수 있었다. 이는 게일에게 있어 더욱 중요한 의의를 지닌 치적이었다. 단군은 단지 고조선을 건국한 군주가 아니라, 한국 민족에게 종교를 가르쳐 준 기원이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Dangun(檀君) discourse from the late 19th century up to the 1910's. Through that, this author intends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ransmitting and transforming Dangun discourse in late Chosun when it was collected and mixedly existed.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could encounter Dangun then through the history books of early Chosun and mid- to late Chosun represented by Dongguktonggam (『東國通鑑』) and Donggukyeokdaechongmok(『東國歷代總目』) each. Based on that,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like Gale or Hulbert perceived Dangun with two mixed images, ‘the progenitor of the country’ and ‘a king of culture’. Nevertheless, the Protestant missionaries did not regard the myth of Dangun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as the most legitimate records of history. It was because they did share the Dangun discourse contained in the history books at the end of Chosun grounded on the myth of Dangun that had been transmitted by the history books of Chosun like Dongguktonggam. The Protestant missionaries did focus on the myth of Dangun not in the academic aspects of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 but in the perspective of mission work. In fact, the myth of Dangun was very useful when they tried to explain Christianity’s Trinitarianism, idea of the One and Only God, and incarnation of Jesus to Koreans. Sindansilgi(『神檀實紀』) which Daejonggyo(大倧敎) compiled in the 1910’s was the text better fitting the missionary purpose of those Protestant missionaries. But Gale adopted Daejonggyo’s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for different reasons. First of all, he transformed the successive relationship of Hwanin(桓因)-Hwanung(桓雄)-Dangun erased from Dongguktonggam into that of the Holy Trinity, ‘Hwanin=Hwanung=Dangu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turn Hwanung’s achievement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Dangun’s. This was an achievement that was even more meaningful to Gale. It was because Dangun was not merely a king who founded the country but the origin that taught religion to the people of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