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30
3.137.218.230
close menu
KCI 등재
학교상담현장에서 인식하는 학업중단숙려제의 실제: 근거이론 접근을 중심으로
The reality of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perceived in school counseling fiel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김종우 ( Kim Jongwoo ) , 주수산나 ( Joo Susanna )
상담학연구 19권 2호 107-124(18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57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현장에서 학업중단숙려제가 수용, 인식, 적용되는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한다. 연구자들은 학업중단숙려제를 운용하는 Wee 클래스와 Wee 센터의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한 이후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토대로 한 분석, 이론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숙려제는 긍정적 방식과 부정적 방식이라는 이중 차원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각 차원은 제도가 현실에 적용되는 다른 작동 기제를 내포하고 있다. 긍정적 작동과 관련된 기제는 1) 상담공간 접근성, 2) 관심과 지지, 3) 지역사회 상담기관과의 연계, 4) 직무의 전문성 인정, 5) 상담자의 역량 강화 노력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차원의 기제는 1) 학업중단숙려제에 대한 이해 부족, 2) 인력 부족에 따른 직무 소진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숙려제와 행위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긍정, 부정의 차원은 1) 입시 중심 교육문화 및 의무교육 여부, 2) 상담 인력의 고용 유형, 3) 지역 맥락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how to accept, perceive, and apply the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in school counseling fiel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at Wee-class and Wee-center which operates the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orized by grounded theory. As a result, the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was working positively as well as negatively. Each outcome of the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connotes different mechanisms which is applied to reality. Positive mechanisms are 1) accessibility of the counseling room, 2) interest and support by others, 3) cooperation between the Wee-center/Wee-class and community, 4) acknowledgement of job expertise, 5) counselors' efforts to strengthen own competency. Negative mechanisms were also found: 1) lack of understanding of ‘institutional delay before school drop-out’, 2) burn-out due to the lack of human resources in the school counseling pos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mandatory delay before school drop-out system and the operators were functioning differently based on the following contexts: 1) educational culture in Korea such as a focus on entering university and compulsory education, 2) occupational status of counselors, 3) regional con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