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39.46
18.216.239.46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Depression and Anxiet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이유현 ( Lee You-hyun ) , 정소희 ( Jeong So-hee ) , 최웅용 ( Choi Woong-yong )
상담학연구 19권 2호 125-147(2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393758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연령과 부모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 및 불안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청소년의 우울, 불안 간의 관계가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북, 대구, 부산지역에 위치한 8개의 중, 고등학교 2학년 666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녀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파국화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령과 부모 교육수준을 통제한 후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주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국화, 반추, 자기비난은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국화와 반추는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수용과 긍정적 초점변경은 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보면,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에 비해 파국화가 우울에 정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ing the age of adolescents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66 2 nd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buk, Daegu and Busan. It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amo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atastrophiz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Second, the ma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ling age and parents' education level are as follows. Catastrophizing, rumination, and self blam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refocus on plann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ddition,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showed positive impact on anxiety, and acceptance and positive refocus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nxiety. Third, the gender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depression showed that the impact of catastrophism on depression was higher in female adolescents than mal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terms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