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등재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디자인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Directionality of Mobile Healthcare Content Design for User Convenience
최윤정 ( Choi Yoon-jung ) , 김성훈 ( Kim Sung-hoon )
UCI I410-ECN-0102-2018-600-004223079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 스마트 사회에서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스마트폰 사용률이 증가하였다. 때문에 수많은 종류의 모바일 콘텐츠들이 출시되었으며, 사람들의 건강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개인 건강을 실시간 관리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가 다양한 연령층이 다루기 쉽지 않다는 접근성의 문제점이 드러났고 이에 본 연구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바일 콘텐츠와 모바일 헬스 케어, 사용자 편의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모바일 헬스 케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유형을 정보제공형, 신체측정형, 유지관리형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에 요구되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소는 레이아웃, 내비게이션, 타이포그래피, 색채, 그래픽, 아이콘 6가지로 분석모형을 설정하여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콘텐츠 유형에 따라 콘텐츠 디자인 요소의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제공형은 내비게이션과 그래픽 외 4가지, 신체측정형은 전반적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보였다. 특히 타이포그래피 요소는 모든 콘텐츠에 확대/축소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가장 고려해야할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유형별 개선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의 접근성 문제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모바일 헬스 케어 콘텐츠의 활성화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usage of smart phones has been increased to the extent that you can hardly find anyone who does not use a smart phone in the rapidly evolving modern smart society. That's why a lot of different types of mobile content have been released, and mobile healthcare content is naturally becoming more popular as people's interest in health grows. However, as trends in managing personal health in real-time with smart phones have spread, the mobile healthcare content has turn out to have a problem of accessibility that is difficult for a variety of ages to use i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mobile healthcare content design for user convenienc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bile content, mobile healthcare, and user convenience, classified mobile healthcare content types into three types: informative type, body measurement type, and maintenance type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obile healthcare, and then derived the design elements required for user convenience. The derived elements were layout, navigation, typography, color, graphic, and icon, and it analyzed the cases of mobile healthcare content by setting up an analysis model.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bout content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each type of content, and there were needs to improve the informative type in four parts besides navigation and graphic, and the body measurement type in general. In particular, the typography element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because not all content has zoom in/out function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In this study, it was able to identify design elements that should be improved by mobile healthcare content type, and based on this, it aimed at proposing a solution for the accessibility problem of existing mobile healthcare content.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of mobile healthcare content for user convenience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and researches on the activation of mobile healthcare content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