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97.61
3.21.97.61
close menu
KCI 등재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을 위한 토의·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cussion-debate Clas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김은주 ( Kim Eun Ju )
교육연구논총 39권 2호 79-111(3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4050464

본 연구는 토의·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실태, 어려움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토의 토론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적 연구를 설계하여 A교육청 소속 초·중·고등학교 교사 739명의 설문 조사와 1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과 수업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토의·토론 수업이 상당히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학생들의 호응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응답하여 두 인식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한 달에 1회~2회 정도, 단위 시간 중 절반 미만의 시간을 할애하였다. 선호하는 의사소통 방식은 모둠별 토의였으며, 이는 선조적 의사소통, 반응 평가형, 1인 리더형으로 범주화 되어 활발한 토의·토론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는 없었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서 중심의 수업분위기, 토의·토론 수업 방법과 적용 사례의 부족, 사전 준비의 어려움, 진도와 평가의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또한 면담을 통해 학교 급별, 교과별 일괄 토의 토론 수업 적용이라는 강제적 의미로 받아들이고, 기법 중심의 수업 전략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의·토론 수업의 교육적 의도를 제대로 구현하고, 내실화하기 위하여 첫째, 소집단 실습 중심의 순환적 교사 연수 과정 도입, 둘째, 교수·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학습공간의 변화, 셋째,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학습량 적정화, 마지막으로 교사 업무 축소 등 행·재정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implementation practice, and difficulties in facilitating discussion-debate classes and to extrac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such classes. For this purpose, an integrated study was designe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3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dditionally, 11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class observ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ticipants responding that the students liked or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eachers spend less than half of the unit time once or twice a month.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group discussion group. Third, a textbook-centered atmosphere, lack of discussion-debate class methods and application cases, difficulties in the preparatory process, and negative percep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difficulties in facilitating discussion-debate classes. In order to properly implement and strengthen the educational intentions,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ing cyclical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a databas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changes in the learning space,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ducing teachers’ work.

Ⅰ. 서론
Ⅱ. 토의·토론 수업 효과와 실행의 장애요인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