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40.177
18.116.40.177
close menu
KCI 등재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불확실성 감소에 따른 삼척 지역어 사용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 about Uncertainty Reduction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이노미 ( No Mi Lee )
DOI 10.23875/kca.26.2.3
UCI I410-ECN-0102-2018-300-003757519

본 연구는 표준어 주류사회로 진입한 삼척 지역어 사용자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에 나타난 지역어 사용양상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어 사용을 원활하게 하는 불확실성 감소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삼척 지역어 사용양상은 표준어의 언어이동과 어휘의 code-switching, 어조의 무의식적 사용, 삼척 지역어에 대한 이중적 인식의 4가지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체성과 친밀성, 유사성, 커뮤니케이션 양, 의사소통 만족도는 불확실성을 감소하는 주요요인으로 삼척 지역어 사용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대방의 사회적 범주와 상호작용 동기는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삼척 지역어 사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졌다는데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지역어 사용 역량을 도모하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지역어 사용 태도와 관련한 언어 행위적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using Samcheok regional language found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of the users who have entered the mainstream society of standard language and also figure out the factors of uncertainty reduction to make the use of regional language more favor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four different aspects found in using Samcheok regional language for communication, standard language’s language transfer, code-switching in words, subconscious use of tones, and dualistic recognition on Samcheok regional language. Particularly, identity and intimacy, similarity, the amount of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re found to be main factors to reduce uncertainty, and they, in fact, increase the use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 Meanwhile, it is noteworthy that the social category of the interlocutor and motivation to interact are found to be the factors to increase uncertainty and reduce the use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intend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ency of using regional language and providing clues for research on language behavior associated with attitudes to use regional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