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90.232
3.135.190.232
close menu
KCI 등재
강원도 민요에 나타난 지역 문화 연구: 영월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gional Culture Represented on Gangweon-do Folk Songs: Centering on Yeongweol Region
박선애 ( Seon Ae Park )
DOI 10.23875/kca.26.2.8
UCI I410-ECN-0102-2018-300-003757468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월 지역 민요를 중심으로 영월 지역 문화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단종의 죽음과 관련된 노래 <대왕인산요>와 <한양가>에서는 단종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한(恨)을 노래했다. 그리고 ‘술이 나는 샘(酒泉)’을 노래한 <술샘노래>에서는 지금은 술이 나지 않고 현재 영월지역 망산(望山) 밑에 샘터만 있어 ‘그리움’의 현장으로만 남아있을 뿐이다. 또한 당시 강원감사가 단종의 무덤인 장릉을 참배할 때, 감사 일행이 다리를 건너던 내용의 노래인 <쌍다리 노래>에서 ‘쌍다리’와 만지 나루터의 주모 ‘전산옥의 집터’와 돌담 역시 ‘그리움’의 현장으로 남아있다. 다음으로 영월 민요의 사설에 나타난 당대 문화(근·현대)를 살펴보았다. 노래의 사설에 ‘명주’와 ‘목도리’가 등장한 것으로 보아 근대 시기 복식 문화를 알 수 있었고, ‘소주’, ‘약주’라는 술의 종류가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19세기 말 이후 술 문화를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노래 사설에 ‘미도리’라는 담배와 일본어, 외국 지명이 등장하는 것을 통해서 일제 시대의 흡연 문화와 언어문화를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빨래가>와 <영월팔경가>를 통해서 1970년대와 그 이전 영월 지역의 생활 모습과 현대 영월 지역의 전체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 논의를 통해 영월 지역의 민요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비극적인 삶을 통한 단종의 한(恨)과 과거의 장소로만 남아 있는 흔적은 그리움의 정서를 더욱 더 강화시키는 기능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고, 근대 이후 영월 지역의 사회 문화 생활상의 편린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n this study the culture of Yeongweol region was looked around centering on the folksongs of Yeongweol region Gangwon-do. First, in the songs of < Daewanginsanyo > and < Hanyangga > related with the death of king Danjong, the regret about the unfair death of king Danjong was sung. And in < Sulsaem nore > that sang ‘the fountain of wine (酒泉)’, now wine does not come out and only the site exists at the foot of Mangsan(望山) Yeongweol region, remaining as the site of yearning. In the song of < Ssangdari nore > that sang the visit of then Gangweon provincial governor on Jangneung(the tomb of king Danjong) crossing Ssangdari(Twin Bridge), ‘Ssangdari’ and ‘the housing site and the stone wall of Jeon San-ok’, barmaid of manji ferry, remain as the site of yearning, too. Nex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e represented on the poem of Yeongweol folksongs was looked around. There were ‘silk’ and ‘scarf’ in the poem of the songs, showing modern dress culture. The kinds of alcohol ‘soju’ and ‘yakju’ showed 19th century-end and after drinking culture. And in the poem of the songs, the tobacco name of ‘Midori’, Japanese words and foreign geographical names showed the smoking and language culture of the Japanese domination era. And through < Palaega(Laundering) song > and < Yeongweol palgyeongga(eight landscape song) > the living conditions and look of Yeongweol region before 1970’s and today could be known. In this discussion, the features shown only in the folksongs of Yeongweol region were discovered. The regret(恨) of king Danjong through his tragic life, traces of yearning place, and social cultural life of Yeongweol region since modern times could have been guessed.

1. 머리말
2. 영월 지역 민요의 지역 문화-한(恨)과 그리움의 현장
3. 영월 지역 민요에 나타난 당대 문화-근·현대의 문화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