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3.184
3.144.243.184
close menu
KCI 등재
청각과 시각의 교차감각 매핑에 의한 소리 시각화 연구
A Sound Visualization Using Cross-Modal Mappings Between Auditory and Visual Sense
김희정 ( Heejung Kim ) , 오동우 ( Dongwoo Oh )
UCI I410-ECN-0102-2018-600-004219164

연구배경 청각-시각 교차감각은 서로 다른 두 감각 채널 간의 상호작용이다. 오늘날 미디어 환경은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 분야에서 청각과 시각의 상호작용성은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사용자 몰입도를 증강하는 요인이다. 다가올 미디어 환경에서 청각과 시각의 서로 다른 두 감각 간의 상호작용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소리-시각화 프레임워크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감각과 교차감각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단계로, 사례통합분석 방법론으로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선행연구 패턴을 분석하여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속성을 적용한 청각-시각 관계에 관한 조합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소리 속성 중 하나인 음고는 모든 연구에서 일관되게 명도와 관련이 있었다. 채도는 배음과 가장 관련이 있었으며 음고와 음량, 템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공감각과 일반인의 교차감각 모두에서 공통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색의 정의는 단정할 수 없으나, 음악적 정서나 촉각적 심상 등의 공유된 감성을 매개로 하여 유사한 색채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지금까지 시청 공감각에 대한 연구는 제한된 조건과 일반화하기에 적은 표본으로 수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다른 문화권과 다른 시기에 다양한 조건과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공감각 속성 및 교차감각 패턴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토대로 미디어를 이용한 소리 시각화에 있어서 청각-시각 정보의 조합 매트릭스를 활용한 소리-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Cross-modality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different sensory channels. Today media environments are evolving towards the reinforcement of multi-modality. In various fields using media, the interaction between hearing and sight is an element that strengthens communication effect and user’s immersion level.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the way to visualize sound for the coming digital media era, by analyzing the framework of interactions between two different senses: auditory and visual. Methods Firstly, we discussed about mechanisms of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Then the cross-modal patterns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were analyzed by the cross-case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properties of cross-modality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was derived. Also, data applied with properties of audio-visual cross-modal integration was used to illustrate matching framework in variety of ways. Result Consistent association between pitch and brightness was found in all studies. Chroma had the biggest relevance to overtone and was also related to pitch, volume, and tempo. We could not define exact match of color sets for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of showing similar color responses through shared emotional experiences from musical and tactile experiences. Conclusion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es for audio-visual synesthesia were conducted with limited conditions and too small number of samples to generalize the result. In this study, however, we were able to derive the pattern of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by combining studies performed under variety of conditions and methods.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times. Also, based on gathered data, we could study the way to visualize sound from media. Various frameworks for mapping auditory data with visual data were used.

1. 서 론
2. 공감각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소리의 시각연상에 관한 사례연구
4. 소리의 시각화 프레임워크 연구
5.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