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등재
패션문화상품 관련 국내 학술 연구 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in Fashion Cultural Products
김선영 ( Kim Sun Young )
한국디자인포럼 59권 61-72(12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4219215

연구배경 본 연구는 패션문화상품 관련 국내 학술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향후 패션문화 상품 관련 연구 활성화 도모와 고부가가치 문화상품으로서 지속적인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방법이며, 국내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패션문화상품을 주제로 한 총 106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범위는 관련 연구가 처음 발표된 2000년부터 2017년 6월까지로 한정하여, 연대별 연구 추이,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상품 유형, 주제와 제작기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션문화상품 관련 논문은 2000년을 시작으로 2연대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연구 분야는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로 구분되었고, 디자인 분야에 집중되었다. 연구 방법은 연구개발, 조사연구, 사례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 유형은 여러 유형의 아이템을 다중 제시한 것이 가장 많았고, 패션잡화, 생활소품, 패션의류에 관한 순이었다. 활용된 주제는 한국 전통문화적인 요소가 가장 많았고, 지역문화기반, 복합적인 요소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작기법은 디지털프린트, 봉제기법, 기타, 원단제직, 염색기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감각적인 패션 감성이 수반된 패션문화상품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개발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이 예상된다. 앞으로 패션 문화상품 관련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 한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견인차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pertaining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in Korea. This will help the activation of research about fashion cultural good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ongoing development of them as high value added goods.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taken as a research method. Selected object was a total of 106 against themes on fashion cultural products among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 papers. Period covered for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year 2000 when the relevant paper was first released through June, 2017. Analysis was performed on timeline research trend, research field and method, type of product, theme and production technique. Result Number of fashion cultural product-related paper increased abruptly in the second period starting from 2000 and the continuous increase kept going. Research field was defined into design and marketing and the design area was concentrated out of these two. Research method appeared in the order of research development, survey study, case study, and literature study. In the type of product, the manifold suggestion with various types of item took the most, and then fashion accessories, miscellaneous goods in daily life, and fashion clothing followed. In the applied theme,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al element was featured most, and then local culture-based element and complex element were shown. As to the production technique, the digital print-based method took the highest portion, and sewing method, others, fabric weaving, and dying method came afterwards. Conclusion In these days the cultural industry's importance is emphasized, fashion cultural products along with a sensual fashion emotion seem to have limitless potential in terms of manifold aspects in development. More activated research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is expected further to proceed to lead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in the future.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