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221.52
3.146.221.52
close menu
KCI 등재
설명문과 논설문 쓰기에서 문단 구현 양상 조사 연구 - 대학교 신입생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spect of paragraph implementation in explanation and argument writing - For the writing of university freshman -
서종훈 ( Suh Jong-hoon )
배달말 62권 79-106(2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43555

본고는 문단이라는 단위를 중심으로 텍스트의 주요한 속성인 통일성(coherence)의 문제를 다루었다. 두 가지 연구가설을 상정하고, 이를 글의 갈래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중심문장 제시, 중심문장 위치, 문단 간 의미관계 등을 다루었다. 갈래에 따른 설명문과 논설문의 중심문장의 제시 비율은 차이가 없었지만, 수준에 따른 중심문장의 제시 비율은 유의미하게 우수한 집단의 학습자들에게서 높게 드러났다. 즉 우수한 집단의 학습자들이 그렇지 못한 학습자들보다 모든 갈래에서 문단의 중심문장을 잘 구현했다고 볼 수 있다. 갈래에 따른 중심문장의 위치는 우수한 집단은 갈래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렇지 못한 집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준에 따른 중심문장의 위치는 모든 갈래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문단 간 의미관계의 양상도 마찬가지이다. 즉 우수한 집단의 학습자들은 각 갈래에서 중심문장의 위치 및 문단 간 의미관계를 기존의 쓰기 관습, 이른바 수사학적 틀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는 일부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문과 논설문이라는 두 갈래의 글에 대하여 문단 중심의 통일성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향후 조사 과정에서 대상 집단의 확대 및 통일성과 관련된 다양한 조사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problem of , which is the main attribute of text, centering on the unit of paragraph. Two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he main sentence presentation, the main sentence position, and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paragraphs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writing and the language performance level of the learn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presentation of the main sentence between the explanation and the editorial according to the genre, but the rate of presentation of the main sentence according to the level was higher in the group of the students having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group of learners implemented well the main sentence of the paragraph in all the genres than the lower learners. The position of the main sentence according to the genre was found to be different for the higher group and for the lower group. The position of the main sentence according to the level was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is is also true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paragraph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excellent group learners constructed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main sentences and the paragraphs in each genre based on the existing writing customs, the so - called rhetorical framework.

1. 들머리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가설
4. 연구결과 및 논의
5.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