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97.64
3.136.97.6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한시 속에 담긴 역사의식과 문명의식
A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in Korean Chinese Poetry
변종현 ( Byun Jong-hyun )
배달말 62권 107-137(3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43560

한국 한시에는 시인 자신의 정감을 표현한 작품이 많지만, 때로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역사의식이나 문명의식을 시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우리 역사에서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는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배계층에 속했던 인물들의 주체적인 결단이 필요하던 시기였다. 고려후기는 원·명교체기로 역사와 문명에 대한 갈등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이제현은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통하여 사대부문학이 나아갈길을 제시하였고, 영사시(詠史詩)를 통하여 역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이 담긴 시를 통해 우리가 본 받아야할 인물들과 반성해야 할 인물들을 잘 제시해 주었다. 이곡은 원의 수도인 대도(大都)에서 유학하며 아들인 이색에게도 대도에서 벼슬해야함을 권면하였다. 이색은원에서 유학을 한 뒤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였지만 고려로 귀국한 뒤 친원(親元)과 친명(親明) 사이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나라로 사행을 가며 쓴 시로 보이는 <즉사(卽事)>에 나타난 의식으로 보아 목은은 명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더 호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겠다. 목은은 이후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김구용·정몽주·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유교문화를 심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고려 후기에 형성된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는 사대부들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게 되어서, 이후 사대부계층들은 역사전환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영조와 정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특히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조선을 장악하기 위해 일어났던 전쟁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역사 흐름 속에서 조선 문인들은 한시를 통하여 농민들의 참혹한 실상을 고발하기도 하고, 외세의 침탈에 강력하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정조 때 유득공은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43수를 지어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이 시에서 유득공은 우리 역사의 지나간 모습, 즉 민족적 삶의 총체적 양상을 각국의 왕도(王都)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 것을 새롭게 인식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전봉준은 <절명시>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외세를 배격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지만 이루지못한 한을 잘 나타내었다. 구한말 황현은 서양세력이 조선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1884년에 지은 <이충무공귀선가>에서는 서양세력의 침탈을 호랑이가 양 마을에 드는 형세라 하였고, 음독하기 전에 쓴 <절명시>에서는 국치일에 죽음으로 선비정신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진화와 정몽주의 시에서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이 뚜렷함을 보여주었고, 조선 후기에는 역관 신분이었던 이언진의 시와 박수의 사상에서 문명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진화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문명의 주체가 고려임을 나타내었고, 정몽주는 한시를 통하여 중화적(中華的) 세계 질서 속에 있는 고려 민족의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즉, 고려 후기에 국제관계가 중국 명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질서 속에서 문화적 동질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자부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역관이었던 이언진의 시에서 자신의 신분과 사상에 대한 깊은 성찰이 나타나있다. 이언진의 시집에는 시인 자신이 겪은 고통과 분노의 언어로 채워져 있으면서, 유교 국가 너머 다양한 사상이 인정되고, 신분과 혈통이 아니라 능력으로 인정받는 세계를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한말 박수는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진정한 의미를 논하면서 “주 나라가 이룬 제도와 문화를 갖추어 예를 지키고 인륜을 유지하여야 중화”라 하였다. 이러한 선인들의 시와 사상을 통해 볼 수 있는 역사의식과 문명의식은 오늘날 우리에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자리를 잡아,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역사를 이룩해 나가고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 가는 원동력이 되리라 여겨진다.

What is the driving force which induces the cultural power of Korea which all over the world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force of the source can be found out from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our ancestors have left to us. This paper focuses on humanistic imagination involved in Korean Chinese Poetry, based on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In most of Korean Chinese Poetry, poets expressed their own emotions but sometimes they presented their historical or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ly, some poets among writers in the late Koryeo and in the late Chosun Dynasty showed distinctly such a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can be examined in Yi Jehyeon' Youngsasi(詠史詩),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Koryeo, in Yu Deukgong'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and Jeon Bongjun's and Whang Hyeon's < Jeolmyoungsi(絶命詩) >,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Yi Jehyeon reinterpreted and criticized Chinese historical figures by writing Youngsasi. Through the poems of historical figures, he presented what ones should emulate and reflect on. Besides, Yu Deukgong composed 43 poem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even though he had lived in poverty. Reading these poems, we can appreciate how our ancestors revealed their view of world and awareness of reality in their poetry, struggling against arrogance of the world. And in the late Koryeo, Jin Wha's and Jeong Mongju's poems showed obvious opinions for the subject of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Yi Eonjin, who was an interpreter, and Park Soo displayed clearly new view of civilization in their thoughts. Jin Wha dispatched to Jin as an envoy expressed that the subject of civilization was Koryeo. Jeong Mongju revealed the pride of Koryeo people even in Chinese world order of the time. In his poems, he expressed a pride that he lived ensuring cultural homogeneity in Ming-centric world order even though the world in the late Koryeo accepted such a world order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Yi Eonjin, an interpre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described keen reflection on his status and thought in his poetry. His anthology was filled with the words of agonies and rages which he had experienced. He was dreaming of the world that various thoughts would be accepted and people's abilities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ir status or blood even though he lived in a confucian count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Park Soo said, "Jungwha(the form of viewing China as the most advanc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s that courtesy should be observed and humanity should be kept, equipped with system and culture which Zhou Dynasty had established", disputing about what the real Jonwhayangi(Hua-yi distinction) was. It is considered that today the ancestors'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shown in their poems and thoughts will be the motive to build new cultural contents, to make desirable history and to create new civilization in future.

I. 머리말
II. 한국 한시와 역사·문명의식
III. 한국 한시 속에 담긴 역사의식과 문명의식
IV.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