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0.217.134
18.190.217.134
close menu
KCI 등재
<나무도령>으로 본 신화적 민담의 서사원리와 이야기창작의 실제
The actualities of storytelling and the story principle of mythical folktale in the story “The lad from a tree”
김정은 ( Jungeun Kim )
구비문학연구 46권 85-121(3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4151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논의에서는 현대인이 설화를 생성할 힘을 체득하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나무도령>의 서사원리를 활용한 이야기창작을 실행해 보았다. 구비설화를 활용해 이야기창작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삶의 문제를 ‘이야기를 통해 드러내기 쉽게 응축하는 서사원리’가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나무도령>이 지니는 신화적 민담의 서사원리를 요약해보면, 나무도령은 비범한 탄생을 하지만, 그것이 뛰어난 능력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비정상적인 ‘-자질’을 가진 결핍이 있는 존재가 되는데, 이러한 존재의 속성이 ‘나무도령’이라는 대칭되는 양항의 이중적 속성의 화소에 담겨 있다. 세상을 덮치는 홍수라는 신화소는 낡은 기존의 세상과 단절하게 하고 공간을 이동하게 하여, 기존 세상의 가치에 지배받지 않고, 자신이 가진 자질 그대로 타자를 만나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대립자인 소년과의 경쟁을 통해 나무도령이 가진 ‘+자질’로 발현하게 되어, 자기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가게 되는 서사원리이다. 이와 같은 <나무도령>의 서사원리를 활용해 창작원리를 제시했다. 1단계 나의 가치로 나무도령 해석하기, 2단계 나무도령 같은 대칭적 화소 만들기, 3단계 세상의 문제를 홍수로 정화하기, 4단계 공간이동의 순차구조로 타자 만나기, 5단계 가치가 대립되는 인물과 경쟁화소 만들기다. 특별함과 신성성을 내재하고 있는 존재지만 현재는 민담의 주인공처럼 평범하고 결핍이 있는 주인공이, 자신을 흔드는 세상의 문제와 단절하게 하는 홍수로 인해 공간을 이동하며 타자를 만나고, 대립되는 인물과의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의 숨겨진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는 창작의 서사원리다. 신화적 민담의 서사원리를 창작원리로 활용하여 이야기창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업으로 진행해 보았다. 수업을 들었던 33명의 학생 중 30명이 서사원리를 체득하여 이야기를 쉽게 창작할 수 있었다. <나무도령>의 서사원리를 따라가며 창작하자, 자신의 결핍이 지닌 의미를 이중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되었고, 자신의 삶에서 홍수로 쓸어내려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자신이 가진 고유함에 집중하여 스스로 해결할 서사적 길을 내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tries to use the story principle of “The lad from a tree” (“Namu Doryung”) to propose a way for modern people to acquire the power to create a story. The reason we can tell stories using folktales is that there is a “story principle” that condenses and easily shows the life problems in the stories. In the story principle of “The lad from a tree,” the lad from a tree is born extraordinarily, but his unusual birth does not give him superior ability. On the contrary, he becomes a deficient being with abnormal minus qualities. The characteristics of Namu Doryung are contained in the motif of these double properties with symmetrical pairs. The mythical element of the flood that covers the world makes the main character disconnect from the old world and move on to the new. It also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that it allows him to meet others with the same qualities that are not dominated by existing values. This demonstrates a story principle whereby Namu Doryung’s plus qualities are manifested through a competition with a boy who is his opponent and live as the host of his own life. This paper proposes the principles of creation using the story principles of “The lad from a tree”: Step 1, Interpreting Namu Doryung with their own value; Step 2, Making symmetrical motifs like Namu Doryung; Step 3, Cleansing the world’s problems using floods; Step 4, Meeting others through the sequential structure of spatial migration; Step 5, Creating a competitive motif with a person of opposing values. The lad had uniqueness and godhood when he was born, but he becomes an ordinary, deficient being after growing up, like the hero of a folktale. However, he can move in space and meet others because of the flood that separates him from the world’s problems. He also solves problems against the person who is confronted with himself and finds his hidden and unique value. This is the principle of story creation here. I had a storytelling class by using the story principle of mythical folktale as a creative principle. Thirty students out of the thirty-three who attended the class grasped the story principle and were able to create stories easily. When they followed the story principles of “The lad from a tree,” they were able to introspect on their own deficiencies with a dual. They learned what they needed to flush out in their stories using a flood in their lives. They could also concentrate on their own uniqueness and create a story to solve their problems themselves.

1. 서론
2. <나무도령>으로 본 신화적 민담의 서사원리
3. <나무도령>의 서사원리를 활용한 창작원리
4.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창작의 주요 사례와 그 의의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