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99.243
3.141.199.243
close menu
KCI 등재
논쟁과 설득으로 본 <수궁가> 담화의 원리
Principle of conversation in Pansori “Sugungga” through argument and persuasion
최혜진 ( Choi Hye-jin )
구비문학연구 46권 123-153(3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4152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판소리는 구비서사물이면서 공연예술이다. 판소리의 서사전략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구비가창되는 판소리의 특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문예물로서의 판소리가 아닌 ‘말’로서 전달되는 구비적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고 논의할 때 판소리 서사의 특징이 더 잘 드러나리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판소리에 나타난 담화(대화, 혹은 발화)와 담론(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말)을 중심으로 판소리 <수궁가>의 서사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재 가창되는 공연물로서의 판소리 창본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논쟁과 설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수궁가>는 중요한 서사 진행이 ‘논쟁’과 ‘설득’을 위한 담화 구조로 되어 있다. 어족회의나 모족회의 대목, 토끼유인대목과 토끼가 용왕속이는 대목은 이 구조의 핵심적 논쟁 부분이다. 어족회의는 용왕을 중심으로 한 정치적 현실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논쟁을 통해 무능한 신하와 충성스런 별주부의 모습을 대비하여 보여준다. 모족회의는 상좌다툼을 통해 허세와 과시에 대한 경계는 물론, 논리가 아닌 과장과 힘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구성원들의 관계도를 볼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 부분의 논쟁은 설득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논쟁 자체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논쟁의 방법도 ‘부정적인 내용으로 반박하기’ ‘지식자랑하기’ ‘인신공격’ 등이 쓰이고 로고스보다 에토스나 파토스적인 요소가 많다. <수궁가> 논쟁의 가장 중요한 대목인 토끼유인 대목과 용왕속이는 대목은 논쟁의 결과가 설득으로 이어져 있다. 이 두 대목은 논쟁의 비중이 서사 진행상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서로의 문답 혹은 대화가 엎치락 뒤치락하며 논증과 반박을 이어간다. 핵심적인 설득의 요소는 논리적인 증명을 보여주는 로고스지만 별주부와 토끼의 성품에서 비롯된 에토스적 요소, 논쟁 중 벌어지는 동정, 호소, 위협, 호통, 칭찬 등 정서적 파토스가 강하게 사용된다. 결국 <수궁가> 논쟁에서, 설득의 요소는 고루 사용되지만 청자의 정서를 고려한 파토스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판소리는 담화 구조 내에서 연창자가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기본 메커니즘을 가지고 일어나는 예술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연창자는 작품 내에서 논쟁이 일어날 경우 논쟁에 대한 시각과 의미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궁가>의 경우 논쟁자체가 작품의 서사진행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주제적 해석을 유도하기 때문에 연창자의 설득적 담화는 논쟁의 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요컨대 <수궁가>는 작품의 내적, 외적 구조에서 논쟁과 설득을 기본 구조로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표현기법면에서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적인 설득 요소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nsori is an oral narrative and a type of performing art. To discuss the narration of Pansori, one must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that are orally sung.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ansori would be more distinct when its oral features, delivered by “word” and not as a form of art, are properly apprehended.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on of Pansori Sugungga by focusing on conversation (talk or articulation) and discussion (systematic words about certain subject) in Pansori. For this, the study conducts discussion targeting Pansori script as a performing art that is sung to this date. Focusing on argument and persuasion, the study utilizes rhetoric as a research methodology. Significant narration of Sugungga is based on the conversational structure of “argument” and “persuasion.” The core argument of this structure is the part about the meeting of fish royalty, Mojok meeting, luring the rabbit, and the rabbit deceiving the dragon king. The meeting of fish royalty shows the political reality centering on the dragon king, which the royal turtle and incompetent retainers are in contrast to. The Mojok meeting scene warns about bluffing or ostentation through political quarrel and also show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members is composed of not logic, but power. However, the argument in this part does not develop into persuasion but remains an argument. The method of argument is “arguing with negativity,” “showing off one’s knowledge,” or “personal attack,” which is similar to ethos or pathos rather than logo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argument in Sugungga, the part where the rabbit is lured and the rabbit deceives the dragon king, links argument to persuasion. The argument in these two parts occupies a significant part of the narration, and they develop arguments and rebuttal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and conversation. The core persuasive element is logos, which shows logical proof, but there are strong elements of ethos based on the personality of the turtle and rabbit, and elements of emotional pathos from sympathy, urging, threatening, scolding, and complimenting in the argument. As a result, in the argument of Sugungga, there is an even number of persuasive elements, but there is a great deal of pathos considering the emotion of listeners. Pansori is a form of art, with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the singer persuading the audience within the conversational structure. Thus, the singer plays the role of controlling views and meanings of argument if there is one in the script. As for the Sugungga, as the argu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on of the piece, and leads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 persuasive conversation of the singer leads the direction of the argument. For example, Sugungga has a fundamental structure of argument and persuasion in its inner and outer structure. Along with this, it properly uses ethos’, pathos’, and logos’ persuasive elements in expressive technique.

1. 머리말
2. 구술담화로서의 판소리적 특성과 설득의 수사학
3. <수궁가>에 나타난 논쟁의 양상과 유형
4. 논쟁과 설득 구조로 본 <수궁가> 담화 양상과 판소리의 원리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