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에 나타난 도산도목(桃山桃木)·목랑두들(木郞豆豆里) 신화 수용배경과 진지왕 왕권신화 구조
A Study on the Reception Background of peachtree·Mokrangdoodle Myth and the structure of Jinjiwang’s Royal Authority Myths in < Dowhayeo and Bihyoungrang >
권도경 ( Kwon Dokyung )
구비문학연구 38권 167-207(4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181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을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시킨 <도화녀 비형랑> 서사체계의 성립배경을 진지왕계 집단의 특수한 왕권신화 인식체계 속에서 규명해 보았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 진지왕계 집단의 특정한 신화관념과 도화녀를 인격상징으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 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왕계 집단이 도목문신 관념을 수용하여 왕권신화를 재구성하는 신화구성의 메타 이니시에이션이 된다고 가설을 세울 때 비형랑의 문신좌정이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지니고 있었던 특수한 시조기원은 소호금천씨다. 진지왕계 집단은 가야 김씨인 모계 혈통의 비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해 신라 김씨와 가야 김씨를 아우를 수 있는 소호금천씨를 시조기원으로 내세워 기존의 신라 김씨에 의해 확립되어 있던 건국신화체계를 재편했다. 소호금천씨가 주관한 동방 변경의 신화지리지는 소호금천씨가 직접 주석한 뽕나무산(扶桑山)과 도목문신이 주석한 복숭아나무산(桃都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도산에 있는 대도목(大桃木)의 동쪽 가지(東桃枝) 끝을 도목문신(桃木門神)이 지키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목문신에 관한 신화가 세모(歲暮)의 도목추나 풍속으로 발전하면서 대문에 도목랑을 세우던 것이 도목문신 그림을 붙이는 것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소호금천씨를 기원으로 한 시조관념을 신라 김씨가 당초 갖고 있던 시조계보와 접맥시키고자 하였다면 이처럼 소호금천씨가 주관하던 중국신화의 동방 변경의 지리지를 신라 경주의 그것 속에 재구성해내야 하는데, 사량부의 각각 서쪽 경계와 동쪽 경계에 위치한 선도산과 왕가수가 여기에 부합한다. 사량부는 애초 급량부 나정 숲에 탄강한 박혁거세가 돌산고허촌 촌장 소벌도리에게 발견되어 양육된 뒤 신라 건국조로 등극한 곳이고, 선도산은 시조모 선도산성모가 주석한 곳으로 신라왕실의 도목벽사 관념의 중심지이고, 왕가수는 도목벽사의 중심지인 선도산의 동방(東方)에 위치해 있는 신라 왕실의 목신 제사처가 된다. 이러한 진지왕계 집단의 신화지리 관념에 따르자면 선도산의 동쪽에 해당하는 왕가수의 위치는 선도산 도목의 동방에 위치한 동도지의 끝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왕가의 목신을 제사하던 왕가수는 동도지에 위치해 있던 귀문(鬼門)이 되고, 제의대상인 목랑은 도도산의 문신 형상을 도목에 조각하여 대문에 세워두었던 대도인인 도목랑에 대응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소호금천씨 시조 기원을 가진 진지왕계 집단의 왕권신화 체계에서 보자면 모계 혈통을 선도산을 주석지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과 접목시켜서 탄생시킨 왕자가 도목문신으로 좌정하게 되면 전통적인 신라 건국신화와 소호금천씨 도목신화가 결합되어 정통성이 확보된 새로운 시조신화 체계가 확립되게 된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 진지왕계 집단의 시조관념과 선도산을 주석지(主席地)로 한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 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서천의 왕가수 언덕에서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왕계 집단이 소금천씨 신화의 도목문신 관념을 수용하여 왕권신화를 재구성하는 신화구성의 메타 이니시에이션이 된다.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이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인식되는 <도화녀 비형랑>의 서사체계는 이러한 진지왕계 집단의 왕권신화 구조로 설명해 볼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ception background of < Dowhayeo and Bihyoungrang >’s narrative system in Jinjiwang group’s special recognition system on royal authority myth. It’s because making a hypothesis that 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 Dowhayeo and Bihyoungrang > symbolizes acculturation between a certain Jinjiwang group’s mythical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Dowhayeo personal symbol and course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 this intermarriage sits as guardian deity is equal with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 Jinjiwang group receiveed concept on peachtree-guardian deity and reconstructed royal authority myth, Bihyoungrang’s being guardian deity is equal with confirm about Jinjiwang’s royal authority. The person who Jinjiwang group recognized as progenitor is Sohokeumchun. Jinjiwang group reorganized Silla myth system that was established by Silla Kims nominating Sohokeumchun as progenitor for making up for mother blood’s unorthodoxy be born from Gaya. Eastern margin’s 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is consisted of Busangsan which Sohokeumchun sitted directly at and Dodosan which peachtree-guardian deity sitted at. It is peachtree-guardian deity that guards eastern brach’s end of big peachtree. As myth about this peachtree-guardian deity progressed to year-end’s custom exorcism, it is that building peachtree-man followed to attaching picture on peachtree-guardian deity at gate. If Jinjiwang group attempted to combine concept that Sohokeumchun is progenitor with Silla Kims’s progenitor myth, it is necessary that reconstruct eastern margin’s 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at Kyungjoo in Silla. Sundosan and Wanggasu which situates each at western and eastern boundary of Saryangbu accords with this condition. Saryangbu is place which Bakhyuckgusye was made king as Silla’s founder in, Sundosan is not only place which progenitor’s mother was seated in but also center of peachtree-exorcism. So, it is that Wanggasu is religious service of Silla royal family’s tree god place which situates at eastern end of Sundosan that is center of peachtree-exorcism. According to this Jinjiwang group’s mythical geography concept, it is that Wanggasu’s location corresponding to Sundosan’s eastern end is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Seen in this light, it is that Wanggasu that did memorial rites to royal familly’s tree god corresponds to ghost’s gate located at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tree-man corresponds to big peachtree-man that carved Dodosan’s gate guardian on peachtree and was built at gate. Like this, if prince who made a birth to combine maternal renege with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 tranmission place take a seat as peachtree god, it is tht a new Silla myth affiliated with Jinjiwang who makes Sohokeumchun a progenitor is established. There it is that 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 Dowhayeo and Bihyoungrang > symbolizes mythical combination Jinjiwang group’s progenitor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 tranmission place, and course which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 of this intermarriage takes a seat as gate god by killing foxy ghost at Wanggasu’s western slop is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 Jinjiwang group accepted concept on peachtree-god of Sohokeumchuns’s myth and reconstructed Jinjiwang’s royal authority myth.

1. 문제 설정의 방향
2. 도산도목(桃山桃木)·목랑두들(木郞豆豆里) 신화 수용배경과 관념체계
3. 진지왕계 집단의 시조신화 인식체계와 <도화녀 비형랑>의 왕권신화 구조
4.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