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14
3.145.191.214
close menu
KCI 등재
『문학』 교과서 속 민요(民謠)의 여성상(女性像)과 교수 · 학습의 문제
The images of women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folk song in the literature textbook
김용기 ( Kim Yong-ki )
구비문학연구 40권 99-128(30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19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2007 개정 문학 교과서 『문학Ⅰ』과 『문학Ⅱ』 본문에 수록된 민요는 10작품이다. 수록된 민요의 하위 갈래를 보면, 『문학Ⅰ』에서는 노동 민요가 다수를 차지하고, 서정민요와 부요(婦謠), 그리고 성격을 규정하기 어려운 타령이 그 다음 순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문학Ⅱ』에서는 서정민요가 7편으로 가장 많았고, 노동요가 3편, 그 다음으로 부요(婦謠)와 타령, 풍자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민요 중에서 본문에 여성상이 나타나는 작품으로는 <밀양 아리랑>, <베틀 노래>, <시집살이 노래>, <정선 아리랑>이었다. 이 중에서 필자는 <정선 아리랑>을 제외한 나머지 3작품의 여성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양 아리랑>에서는 규범과 신가치의 이중적 여성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베틀 노래>에서는 생산과 풍요의 여성상을 추출할 수 있었다. <시집살이 노래>에서는 체험을 통한 상대적 자기 인식의 여성상을 엿볼 수 있었다.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의 수록 양상과 실제 나타나는 여성상의 모습을 고려해 볼때, 현행 문학 교과서 속 민요 교육은 아직 민요 본령의 속성을 교수·학습하는데 미흡한 점이 많다. 특히 여성 화자나 여성상, 여성의 삶과 관련한 체계적인 수업 설계는 별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민요가 가지는 구비문학적 속성과 장점을 교육하여야 한다.

Ten folk songs are included in the 2007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of ‘Literature Ⅰ’ and ‘LiteratureⅡ’. Labor folk songs are in the majority and lyric folk songs and women folk songs are included partially in ‘LiteratureⅠ’. Elusive Taryeong followed in small numbers. In‘LiteratureⅡ’, seven lyric folk songs and three labor folk songs are mainly included as the learning contents. A few of women folk songs, Taryeong and Satiric ballads are contained as one part. Among these folk songs, there are < Milyang Arirang >, < Bettlenorae >, < Sizipsalinorae > and < Jungsun Arirang > as the works referring to the woman image in the body. The images of woman of three works except < Jungsun Arirang > are studied in this research. < Milyang Arirang > has the image of woman to show the norms and new value. The images of production and abundance are extracted in < Bettlenorae >. In < Sizipsialinorae >, we can find out the images of women that establish the relative self-awareness through experience. The folk song educ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to teach folk song’s attribute in consideration of the style of including folk song and the real image. E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systemic design is not considered with female poetic speaker, her image and life. The folk song attribute as the oral tradition literature characteristic and strength should be educated.

1. 서론
2. 『문학』교과서의 민요 수록 양상
3. 『문학』교과서 수록 민요의 여성상과 특징
4. ‘여성상’을 중심으로 본 민요 교수·학습의 문제와 개선점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