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97.123
3.15.197.123
close menu
KCI 등재
태평판 <춘향전>(1933)의 녹음 경위 및 특징적 면모
The background of recording Taihei Chunhyangjeon(1933) and its distinctive feature
송미경 ( Song Mi-kyoung )
구비문학연구 42권 271-303(3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10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고를 통해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신자료인 태평판 <춘향전>은 극단 태양극장의 배우들이 대사를, 판소리 창자 김남수가 창을 맡아 녹음한 음반극이다. 일부 신문 광고나 음반표지에 그 갈래가 창극으로 소개되기도 했으나, 여타의 창극 음반과 비교해볼 때 판소리 창의 비중이 현저히 낮은바, 현재 통용되는 갈래 범주에 따르면 창극 음반보다는 연극 음반에 가깝다. 이 음반은 1933년 5월 말, 오사카로 공연을 떠났던 태양극장 단원들이 그 일정에 겸하여 근처 니시노미야에 위치해 있던 태평레코드 본사에서 취입한 것이다. 녹음 당시 이소연이 이도령 역, 석금성이 춘향 역, 양백명이 방자 역, 최승이가 향단 역, 강석제가 춘향모 역, 이동호가 본관 역, 유장안이 운봉 역, 김진문이 임실 역을 맡았으며, 음반은 같은 해 9월에 발매되었다. 한편 김남수는 판소리 명창 김소희의 이모로, 이 작품의 ‘이별편(하)’에 수록된 창을 통해 송만갑을 직접 사사하였거나, 또는 송만갑 계열의 소리, 더 넓게는 동편제 계열의 소리를 학습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남수가 이 녹음에 참여한 계기와 관련해서는 그가 태평레코드에 소속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태평판 <춘향전>의 갈래적 성격을 고려해 구성, 인물, 대사를 중심으로 그 특징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평판 <춘향전> 음반은 광한루편-춘향집편-이별편-옥중편-출도편의 구성으로 되어있는바, 그 편명만 보면 만남-사랑-이별-수난-재회로 설명되는 춘향전 일반의 구성과 유사하다. 그러나 작품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서사 전개의 구심점이 되는 중심인물이 춘향이 아닌 이도령으로 바뀌어 있는 차이가 있다. 특히 옥중편의 경우 춘향이 변사또의 강압에 항거하는 장면이나 옥에 갇혀 이도령을 그리는 장면이 모두 생략된 채, 바로 이도령과 춘향의 옥중 재회에서 극이 시작된다. 태평판 <춘향전>은 이도령이 광한루에서 춘향을 보고 반하여(광한루편) 그녀의 집으로 찾아가 인연을 맺었으나(춘향집편), 아버지의 승직으로 춘향과 이별하였다가(이별편), 옥에 갇힌 춘향을 잠시 만난 뒤(옥중편), 변부사의 잔칫날 출또하는(출도편) ‘이도령의 이야기’로, 철저히 이도령을 중심에 둔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태평판 <춘향전>의 인물을 살펴보면, 자극적인 대사와 행동을 수반한 춘향모의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강화되면서 오히려 주인공인 춘향의 인물 형상이 그에 비해 약화되는 양상이 드러난다. ‘춘향집편’, ‘이별편’, ‘옥중편’에 등장하는 춘향모는 변덕스러운 태도와 방정맞은 행동, 맛깔스럽게 구사하는 욕설과 비속어 등으로 극중 분위기를 전환시키며 주목을 끈다. 반면 춘향은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면모로 인해 그 존재감이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 편이다. 마지막으로 대사상에 나타나는 특징적 면모는 <옥중화>, <고본춘향전>소재의 재담을 대거 차용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박승희는 토월회 당시 <춘향전> 대본의 집필 과정을 회고하며, 자신이 이 두 편의 <춘향전>을 참조하여 “될 수 있는대로 재미있는 장면이나 대사를 넣어 보느라 그야말로 재주를 다내”었다고 술회한 바 있다. 토월회 극본과 태양극장 극본 간에 어느 정도 시간차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나, <옥중화>와 <고본춘향전> 소재의 재담을 대사로 차용하거나 극적 장면으로 연출하는 내용과 방식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때로는 이러한 대사나 장면이 작품의 감정선 진행 자체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나, 이는 작품의 지향 자체가 일반의 정극(正劇)과 달랐던 데 기인한다. 이상 살펴본 태평판 <춘향전>의 의의는 춘향 서사를 소재로 한 음반극들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창극 음반으로서 일종의 연쇄극 형식을 시도한 시에론판<춘향전>의 기획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춘향 서사를 소재로 한 음반극들이 단편적인 희극 양식으로 치우치게 되는 기점에 놓여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 전반 대중극의 대본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은 태양극장의 대표적인 흥행작이자 박승희의 각색작인 <춘향전>을 토대로 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Taihei Chunhyangjeon is a new material for the first time will b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is paper. This work, by the actors of the theater company Taeyanggeukjang were in charge of the dialogue of the play, the pansori singer Kim Namsu sang pansori songs, was SP records drama. Members of the theater company Taeyanggeukjang went Osaka for a show on tour about the end of May in 1933, and recorded this album in the Taihei record headquarters located near Nishinomiya. At that time, Lee Soyeon(the cast of Lee Mongryong), Seok Geumseong(the cast of Chunhyang), Yang Baekmyeong(the cast of Bangja), Choi seungi(the cast of Hyangdan), Gang seokje(the cast of the mother of Chunhyang), Lee Dongho(the cast of the newly-appointed governor), Yu Jangan(the cast of the district magistrate of Unbong), Kim Jinmun(the cast of the district magistrate of Limsil) participated in recording. And, it estimates Kim Namsu, the pansori master singer Kim Sohui’s aunt, was pansori singer, learned pansori under Song Mangap or his disciple, or maybe Dongpyeonje pansori singer. It is possible she was a singer from Taihei Record. This Taihei Chunhyangjeon was release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The distinctive features focused on its configuration, character, words of Taihei Chunhyangjeon are follows. This record is composed of Gwanghallu pyeon-Chunhyangjip pyeon-Farewell pyeon-Prison pyeon- Appearance of royal secret inspector pyeon. Each name is similar to normal Chunhyangjeon narrative, but the reality is different. Central character, as the pivotal figure of development of narration, turned into Lee doryeong, not Chunhyang. And in this work, the character of the mother of Chunhyang was strengthened with exciting lines and acts, while the character of Chunhyang was weakened with passive and half-hearted attitude. The mother of Chunhyang changes of scene and attracts attention through fickle manner, frivolous action, delicious slangs. Relatively, Chunhyang has difficulty in getting extraordinary presence. The distinctive feature of lines in this play came from a borrowing joke and witticism from Okjunghwa(獄中花) and Gobon Chunhyangjeon. These lines or scenes became disablers of being absorbed in its feeling, but Taihei Chunhyangjeon doesn’t aim for an orthodox play.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needs to be understand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SP records drama. Taihei Chunhyangjeon had an effect on short comic opera records and Sieron records Chunhyangjeon, changgeuk records. And it is worth recalling, being a major work of the theater company Taeyanggeukjang and an adapted version by Park Seunghui with a shortage of public drama scrip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1. 머리말
2. 태평판 <춘향전>(1933)의 녹음 경위
3. 태평판 <춘향전>의 특징적 면모
4. 태평판 <춘향전>의 의의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