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33.58
18.216.233.58
close menu
KCI 등재
‘길장가 든 총각’ 설화에 나타난 고립의 문제와 관계 전복의 서사문법 연구
A study on Story Grammar with Reversal Relationships by Analyzing Problems of Isolation in the Folktale, The young man who get married on the street
김정은 ( Kim Jungeun )
구비문학연구 43권 5-35(3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1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길장가 든 총각’ 설화를 설화의 서사문법을 바탕으로 해석해 보고자 했다. 설화의 서사문법은 핵심화소의 사건이 만들어낸 대립자질과 그것을 풀어가는 순차적 흐름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설화가 던지는 핵심문제를 각인하며 의미를 생성하게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이 유형 설화의 핵심화소를 ‘길장가’로 보았다. 이때 ‘길장가’ 화소가 가지는 우발성으로 인해 다양한 이질성이 창출되어, 마을에서 있었던 신분과 부의 고정성이 통하지 않게 된다. 주인공의 길장가 대상이 ‘가마 탄 여인’의 화소로 조합되면서, 부자아이들보다 좋은 대상에게 길장가를 가게 되는 역전적 상황이 된다. ‘길장가’로 인한 사건으로 주인공은 나무에 매달리는 위기에 처하게 되고, 길장가든 처녀는 총각을 구해주는 원조자가 되는데, 이때 대립자질을 ‘고립 : 유대’로 찾을 수 있었다. 길장가 화소로 벌어지는 사건을 통해 관계를 전복할 힘을 얻게 되는 것인데, ‘길장가’를 통해 따돌림 당하던 가난한 아이가 타인과 유대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재주를 세상으로 확장해 가는 순차적 전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논증을 통해 ‘길장가 든 가난한 총각’ 설화는 자신 안의 남다른 재주가 고립되었을 때, 길에서 벌어지는 우발적 상황이 만든 경험과 인연으로 고정적 관계를 전복하며, 어떻게 재주와 능력을 확장해 갈 수 있을까를 사유하게 하는 서사문법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서사문법에 핵심화소만 ‘길장가’에서 ‘입맞추기’로 변이된 설화에서는 서사문법에 변화가 없지만, 핵심화소의 변이를 통해 고립을 전복하기 위한 우발성보다 주인공의 의지를 통한 삶의 변형에 서사적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folktale, The young man who get married on the street, based on a story grammar of the folktale. It has advantages of highlighting the core problem of the folktale and creating meaning for the core motif by understanding about conflicting features created by the event of core motif and sequential storyline that to resolve the conflicts. First, the core motif of this folktale is a 'marriage on the street'. At this point, the contingency of the motif 'a marriage on the street' creates various heterogeneity. The fixedness of social status and wealth that had been in the village do not work on the street. The young man's marriage partner concluded by the motif with 'a woman who ride in a sedan chair'. When the young man was in danger of hanging on a tree by the motif with 'a marriage on the street', the woman who ride in a sedan chair becomes his assistor and saves his life again. Conflicting features at this point are 'isolation : fellowship'. The young man can get the power to revers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rich children by the motif 'marriage on the street'. It is a sequential development that the young man who is poor and ostracized by other rich children can have ties to others and expand his hidden talent to the world by the motif with 'marriage on the street'. When our extraordinary talent has been isolated, the folktale The young man who get married on the street shows the story grammar which makes people think about how to discover their hidden talents and abilities to reverse fixed relationships with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from adventitious situations on the street. The folktale which changed the core motif from a 'marriage on the street' to 'kissing' in the same story grammar does not change its story grammar. However, it focuses on the life-changing with the main character's willing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core motif rather than the contingency to reverse the young man's isolation.

1. 서론
2. ‘길장가 든 총각’ 설화 유형의 전승 양상
3. ‘길장가’ 화소로 형성되는 관계 전복의 서사문법
4. 길놀이 변이에 따른 서사문법의 의미 생성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