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2.240
3.142.12.240
close menu
KCI 등재
여신 자청비의 노정기와 역할 대리자 -체쳉 고아 선녀, 황우양 부인, 제우스와 견주어-
An Achievement Records of Goddess Jacheongbi in Jeju and the Role-substituter
박종성 ( Park Jongseong )
구비문학연구 43권 67-99(3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14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여신에서 남신으로의 전환이 신화의 거시적 흐름에 있어서 중심축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글은 여신과 남신의 관계를 일방의 흐름으로만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제주의 자청비는 농경의 여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에서 양성구유의 신격을 구체적으로 실현한다. 그리고 자신이 획득한 남성신의 역할을 남편인 문도령, 家奴인 정수남에게 이양하고 수행하게 함으로써 여성신의 역할 대리자로서의 남성신의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었다. 위대한 여신의 노정기가 다른 경로로 확인된 셈이다. 몽골의 체쳉 고아 선녀와 한국의 황우양씨의 부인은 남편인 남성영웅, 혹은 남성신의 과업을 성취하도록 하는 조력자이면서 동시에 여성신의 역할을 대리하는 존재로서의 남성신의 성격을 신화의 서사를 통해 드러내었다. 희랍의 제우스는 위대한 남성신으로서 양성구유의 속성을 온전하게 갖추고 올륌푸스의 최고신으로 좌정한다. 그리고 자신의 역할 대리자로서 여성신이 아닌 자신의 아들신들을 활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여신 아프로디테의 역할을 아들신 디오뉘소스를 통해 구현하게 함으로써 철저하게 아들신을 역할 대리자로 내세운 점이 자청비와 비교된다. 양성구유의 여성신과 남성신의 역할 대리자를 통해서 이 두 신은 함수관계를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신의 역할 대리자의 개념은 신화 일반론의 하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표지임이 인정된다.

In general, the devolution of power from the goddess to god is a main axis of narrative in myths. However, it needs to cast doubt on this common belief that this transition is occurred only by the one way direction. On the process of Jacheongbi in Jeju island becomes the agricultural goddess, she shows the specific feature of androgyny, and transfers her sacred power to male characters like her husband MoonDoryeong and the slave CheongSunam. The substances of male-gods are based on their positions, a substituter of a goddess. We can see the great journey of the goddess by the different point of view. Similarly, Checheng Goa in Mongol and Wife of Hwangwooyang in Korea take roles as assistants of male-gods, who represent roles of female-goddess. Meanwhile, Zeus in Greece is the greatest male-god who has the feature of androgyny and he stands his sons, not the female-goddess, as representatives. For example, Dionysus becomes the representative of the goddess Aphrodite which means Dionysus are able to appropriate the power of Zeus. Jacheongbi and Zeus shows the functional relation. Both two characters are described as the androgyny, but the aspects of substituters of their power are totally different. Therefore, we can draw the fundamental concept of role-substituter of the high ranked god, and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igns to create the common theory of myth.

1. 논의의 착점
2. 자료의 실상과 겉보기
3. 男裝과 女裝, 그 神話的 變奏의 和聲을 이루다
4. 자청비의 路程 - 女神의 持續과 兩性 具有의 典範을 구현하다
5. 제주의 자청비 그리고 希臘의 제우스의 協演이 兩性具有의 神性을 일구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