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99.50
3.138.199.50
close menu
KCI 등재
판소리에 나타난 구술성, 서사성, 연행성의 관련 양상
The Related Aspect of Orality, Narrativity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Pansori
최진형 ( Choi Jinhyung )
구비문학연구 45권 107-144(3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29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판소리는 구비문학의 여러 장르 중 전문적 연행능력을 가진 광대에 의해 공연되는 서사적 연행물이다. 따라서 구술성을 중심축으로 하여 서사성이 어떻게 작용되는가와 더불어 연행성이 어떻게 작용되는가를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 판소리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그 ‘이야기’를 전달하는 주된 수단은 ‘중개화자’의 서술이라는 점이다. 중개화자 역할을 맡은 광대는 창과 아니리, 너름새 등을 통해 독연(獨演)으로 장르를 실현화 한다. 이야기를 중개서술을 통해 전달하는 것은 ‘서사성’과 관련되고, 광대에 의한 전달의 현장성과 개성적 실현이 강조되는 것은 ‘연행성’에 해당한다. 결국 판소리의 경우 ‘서사성’은 구심력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고, ‘연행성’은 원심력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연행성’은 ‘구술성’과 훨씬 강력하게 결합된다. ‘나, 여기, 지금’이라는 요건을 충실히 실현하는 ‘구술성’은 ‘연행성’이 요구하는 ‘현장성, 친교성 및 상황중심 지향적인 면’과 공유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판소리 사설은 ‘서사성’을 중심 구성 원리로 삼고 있다. 단위사설의 공유, 서사구조의 끊임없는 환기, 재담의 활용 등에 ‘서사성’이 구심력으로 작용하면서 단단한 ‘서사구성력’을 보여준다. 한편, 사설치레의 활용, 부분의 독자성에 의한 통일성 결여, 공연현장성이 드러나는 경우는 ‘연행성’이 원심력으로 작용한 경우이다. 서사성 보다는 ‘실현화’에 치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중성 또는 양가성(兩價性)을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고 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넘나드는 경우도 보이기 때문이다. 판소리가 지닌 특성은 구술성, 서사성, 연행성의 조화로운 실현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Pansori(판소리)’ is a narrative performance within the oral literature genre that is performed by a ‘gwangdae(廣大)’ who has professional performance techniques. That is why it is suitable for finding how its narrativity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with orality as its central axis. The biggest feature of pannsori is that it has a ‘story’, and the main means to deliver that ‘story’ is through the narration of the intermediary narrator. The gwangdae who has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narrator causes the realization of the narration through chang(唱), aniri(아니리), neorumsae(너름새) and so on. The delivery of the story through intermediary narration is related to ‘narrativity’, and the emphasis on the vividity of delivery and unique realization is related to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narrativity’ works as a centripetal force,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as a centrifugal force on pansori.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ombine much strongly with ‘orality’ than ‘narrativity’ does. That’s because ‘orality’ that thoroughly actualizes the requirements of ‘me, here, now’, shares a bigger area with ‘vividity, sociality and circumstance-oriented side’ that is required by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composition of ‘pansori saseol’ has ‘narrativity’ as its main principle. ‘Narrativity’ works as a centripetal on the sharing of ‘danwi-saseol(單位辭說)’, the continuous arousal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e utilization of ‘jaedam(才談)’ and so on.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as a centrifugal when the utilization of ‘saseolchirae(사설치레)’, the narrative irony by the maximization of scenes, and the vividity of the performance are shown. This is usually when things are focused on ‘realization’ more than ‘narrativity’. But many are hard to divide in this way. That is because some might have ambivalence and some might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ose two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So it can be said that the features Pansori possess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harmonious realization of orality, narrativity,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1. 머리말
2. 개념의 검토와 정리
3. 서사성과 연행성의 구심력과 원심력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