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29.100
18.218.129.100
close menu
KCI 등재
의인법과 서사적 구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Anthropomorphism and Narrative Structure
김태환 ( Kim Taehwan )
구비문학연구 45권 179-211(3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31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서사적 장르에서 의인법은 일반적으로 동물과 같은 비인간에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반사실적 기법으로 간주된다. 그렇다면 동물이 주인공이 되는 이야기는 충실한 사실주의에 따르는 경우와 동물을 의인화시키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도식 자체가 근원적으로 의인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그레마스의 테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동물과 같은 비인간이 이야기의 중심에 놓일 때 이미 의인화의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의 통일로서의 서사적 주체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서사적 주체가 기본적으로 의인적이며, 이야기의 핵심적 구성 요소라는 점을 밝힌 뒤, 이솝우화의 사례들을 통해 이야기가 어떻게 동물, 식물 등의 비인간적 존재를 서사적 주체로 구성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In the context of narrative theory, anthropomorphism is generally regarded as a strategy for developing non-realistic, fantastic stories whereby human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non-human characters. If that’s the case, animal story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realistic story about animals without any anthropomorphic traits and non-realistic story about anthropomorphized animals. However, critically accepting the thesis of Greimas on the fundamentally anthropomorphic character of narrative syntax,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narrative discourse tends to anthropomorphize whenever non-human be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re placed at the center of a stor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realistic or not. To this end, we propose the anthropomorphic concept of narrative subjectivity as the unity of practical and reflective subjectivity and analyze some of Aesop’s Fables to explore how narrative discourse constructs non-human characters as anthropomorphic narrative subjects.

1. 문제제기
2. 서사적 주체: 실천적 주체성과 반성적 주체성
3. 서사적 주체로서의 우화 속 동물들 : 「거짓말하는 양치기」에서 「참나무와 갈대」로
4. 보론: 발신자로서의 동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