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42.168
3.147.42.168
close menu
KCI 등재
설화 <도량 넓은 남편>을 활용한 창작활동의 치유적 가능성
A Therapeutic Possibility of creative activity using Folk Tale ‘Generous Husband’
조은상 ( Cho Eun Sang )
구비문학연구 34권 321-363(43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5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도량 넓은 남편>은 부부관계의 지속에 대한 이야기, 즉 부부서사를 드러내고 있는 이야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 설화가 부부서사를 드러내기 위해서 취하고 있는 서사적 전략을 분석하고 서사가 지향하는 바를 다시 한 번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이 설화에 대해서 보인 반응을 통해 서사이해의 한계가 어디서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도량 넓은 남편>이 취하고 있는 서사 전략 중 하나는 아내와 남편의 관계를 위협하는 남자를 미성숙한 인물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가 여자 곁을 떠나고 맴도는 것은 그러한 남자의 미성숙함 때문이다. 결국 그가 남편과 아내 사이에서 떠남으로서 비로소 아내와 남편만이 남게 된다. 이는 부부로서 관계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남자가 어떻게 여자에게서 떠나도록 만들 수 있느냐는 것이다. 그것은 단순히 법의 힘을 빌거나 남편의 강제적인 기득권 행사로 실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도 남편에게서 떠나도록 만든다. 남편과 부부관계를 유지한다고 해도 정상적이 되긴 어렵다. 여자는 아내로 남아있게 하면서 남자가 떠나기 위해서는 깨달음을 통한 성장과 변화가 필요하다. 이야기 속에서 바로 그 변화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 남편이고 그러한 남편의 태도는 이전에 남자가 보여주었던 모습과 대조되는 성숙한 모습이다. 남자는 떠나고 아내와 남편은 무리 없이 맺어진다. 결혼하기 전 미성숙한 남자의 자리는 성숙한 남편에 의해 대체되는 것이다. 남자와 남편은 서로 다른 삶의 국면에서 한 남성이 드러내는 두 가지 모습일 수 있다. 한 남성이 보일 수 있는 두 모습을 서로 다른 두 인물로 설정하여 그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 이것이 바로 이 설화가 부부서사를 드러내기 위해 취하고 있는 서사전략이다. 참여자들은 서사단락(8)이후에 이어말하기를 하였는데 이 이러한 설화의 서사 진행방향을 읽어내고 아내와 남편의 이야기로 만든 그룹과 각자 가지고 있는 서사 이해의 한계로 인해 여자와 남자의 이야기로 만든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성 선택의 기준이 모호하고 남녀 관계나 사랑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사람의 서사는 남녀서사에 머물렀으며 부부서사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아내와 남편의 이야기로 만들어서 이 설화의 진행방향을 읽어낸 경우라 하더라도 남편이 아내의 부정까지는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고 관용과 아량의 한계를 설정하거나 부부가 되기 위해서 미성숙한 남자는 과감히 사라져야한다는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경우 그 부부서사 역시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 각자가 드러내고 있는 서사의 이해의 한계가 어느 지점에서 발생하며 설화의 서사가 어떻게 달리 이해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각 참여자가 자신이 드러내는 서사이해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은 자기 이해에 이르는 길이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는 설화의 이야기를 듣는 청자(독자)일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를 살아가는 생활인이다. 서사 이해의 한계는 설화 내용이나 인물 이해의 한계를 넘어서 생활인으로서 타인에 대한 이해, 상황과 사건에 대한 이해, 삶에 대한 이해의 한계와 관련될 수 있다. 서사 이해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넘어서려는 노력은 이들의 자기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 삶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관계 맺음의 어려움과 의사소통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Generous Husband’ is a narrative about the maintenance of husband-wife relationship.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narrative strategy which was adopted to reveal a husband-wife story and reexamine its goal. In addition, it has tried to investigate limitations in narrative understanding through an analysis on literature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responses on this 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e of the narrative strategies in ‘Generous Husband’ was to set a man threatening the husband-wife relationship as an immature character. This man hanged around her because of his immaturity. After he left a town, she was left alone with her husband, which implicitly symbolizes the sustenance of husband-wife relationships. A male adult can show two different aspects as a man and as a husband. This story has attempted to narrate a husband-wife story after setting the two aspects to two different characters and clearly revealing the differences.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joined subsequent talking after a narrative. They analyzed a direction of the narrative and divided into a husband-wife story group and a man-woman story group. In case the criteria to select the opposite sex are unclear with a vague fantasy on men-women relationship and love, the narrative focused on a men-women narrative. In case of a husband-wife story as well, if there are limitations in a husband’s generosity, or if it fails to realize the fact that an immature man should disappear to maintain husband-wife relationships,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husband-wife narrative. Under these processes, participants’ limitations in narrative understanding were detected. In fact, it became a turning point for participants to realize their limitations in narrative understanding and overcome them.

1. 서론
2. 설화 <도량 넓은 남편>의 서사적 의미
3. 설화를 활용한 창작활동과 치유적 가능성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