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1.71
3.145.201.71
close menu
KCI 등재
<삼두구미본>의 신화적 성격
The Mythological Character of ‘Samdugumibon’
이원영 ( Lee Won Young )
구비문학연구 35권 227-261(35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64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제주도 무가 <삼두구미본>의 신화적 성격을 조망해봄에 있어서 삼두구미와 이에 맞서는 셋째 딸의 관계방식을 주목하였다. 여기서 정해진 기한 내에 자신의 다리, 즉 인육을 먹으라는 삼두구미의 금제는 존재적 방식이 다른 인간 여성에게 자신의 몸을 먹이는 식인 행위시험을 겪게 하여 자신과 부부관계로의 일체감과 동질감을 형성하고자 한 서사적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땅귀로서 삼두구미는 망자의 신체를 부식하는 지하의 차갑고 어두운 땅의 성질을 가지며, ‘산’이라고 표현되는 무덤과 묘지의 영역을 관장하는 신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아내가 되지 못한 여성을 모두 죽이고 자신의 집에 방치한 삼두구미는 저승에서의 평안한 안식과 영혼의 삶을 위협하고 잠식하는 죽음의 남성신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삼두구미의 영역, 즉 죽음의 공간에서 자신과 죽은 두 언니의 뼈를 추려 이장하여 삼두구미의 공간에 묶여 있던 두 영혼을 구원하고 돌아온 셋째딸의 영웅적 능력은 삶에 대한 강렬한 의지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망자의 신체, 그 중 유골을 소중히 여기고 모셔왔던 우리 민속의 이중장제(초분이장) 풍습에 비추어 보면 셋째딸의 이장 행위는 억울하게 죽은 두 언니의 넋을 기리고 저승에서의 안식을 기원하면서, 유족들의 슬픈 심경과 남은 삶을 건강히 포용하고자 한 이장의례 넋굿의 서사적 맥락을 갖추고 있다. 요컨대 셋째딸의 삼두구미 징치와 유골 이장 행위는 이묘의례에 있어 땅귀인 삼두구미의 위험으로부터 죽은 자와 산 자를 모두 안전하게 벗어나게끔 방처해주는 천리신(遷移神)의 수호적 능력을 뒷받침한다. 더불어 삼두구미를 징치했을 때 사용한 세 가지 신물 및 주술적 문구 등이 이묘의례에 있어 사용되고 있음을 통해 그 천리신(遷移神)적 신격과 영웅적 성격의 서사적인 맥락이 계속하여 민간풍속을 통해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ythological aspects of Jeju shamanism song lyrics < Samdugumibon >. Among them especially focused 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amdugumi and the third daughter. Samdugumi commanded that her to eat Samdugumi's legs within the period specified. This action was to obtain a sense of the same identity kinship and belonging as marital couple relationship with her. This action was to obtain through cannibalism a sense of the same identity kinship like her and belonging as marital couple relationship. Underground monster Samdugumi is properties of ground. Specially Samdugumi's ground is a tenebrous grave where is rotten dead body. Samdugumi area is 'Mountain'. This is a different meaning to the grave. As a result, the ruler of the land of the dead, the Samdugumi is likely. Furthermore, Samdugumi had killed failed women and neglected their death. In this regard, he is evil god interfering with life after death. Meanwhile, the third daughter retake the bones of the dead two sisters. And go back home to leave Samdugumi's area. These actions prove that she has the qualities of a heroine. Her heroic abilities comes from a strong will for life. On the other hand in this regard, bones of the body of the deceased in the funeral customs of Korea has been cherished. So depending on where, families had twice-funeral-rites(Ijungjangje, Chobun-ijang), for dead person. The third daughter had looking for a bone and made a sister's new grave. Because she want to specially think sisters's death and pray for happy life in heaven. Thus it, between the third daughter behavior and Chobun-ijang ritual means that these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Big risk like death of life is caused When move the grave at Samdugumi area. And in such a situation, she can do to safely protect all the dead person and the living person. Just this behavior proves her capability as god of Cheolli. god of Cheolli is guardian god of all those who want to move the graves for the living and the dead. In Jeju Island, traditional ceremony to moving the grave is called Cheolli. So, the three hallows and protected spells she had used to defeat Samdugumi and appears on the customs of Jeju Island. Through this we can see how it will look the hero narrative continues through the folk belief.

1. 서론
2. <삼두구미본>유형의 변이양상과 서사적 원형성
3. 사람 다리 먹기의 제의·문화적 의미
4. 삼두구미의 존재적 성격
5. 셋째딸의 천리신(遷移神)적 신격과 영웅적 면모
6.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