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200.226
3.142.200.226
close menu
KCI 등재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Contrast Composition and Its My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yungheong meets a saint’
이강엽 ( Lee Kang Yeop )
구비문학연구 35권 263-293(3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26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삼국유사(三國遺事)』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가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두 대립적 인물이 등장하여 서사를 이끌어간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신화적 이해를 모색하기 위해 씌어졌다. 첫째, 하늘-아버지와 땅-어머니라는 견지에서 남신과 여신의 특성을 간략히 정리했다. 먼저, 남성은 머리이고 여성은 몸이라는 대립적 자질을 보이는 것을 필두로 하여, 차별성과 평등성, 지혜와 사랑[불교의 ‘자비(慈悲)’]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관음과 문수가 서사에 관여하는지 살폈다. 먼저 이조의 구성을 살핀 결과, [관음] 삽화가 학문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한다면 [문수] 삽화는 세속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하는 식으로 두 서사단락이 대립쌍을 이루었다. 다음으로, 두 삽화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관음] 삽화는 경흥이 지혜(智慧)를 내세워 생긴 문제 해결을 위해 감성(感性)을 보충하는 방법이 쓰인 데 비해 [문수] 삽화에서는 교만한 마음이 들어 문제를 일으키자 혹독한 질책으로 문제를 깨우치게 했다. 다음으로, 전자가 해학을 통해 양자의 동화(同化)에 주목했다면 후자는 풍자를 통해 양자의 이화(異化)에 주목했다. 끝으로, 경흥을 대하는 태도가 관음보살은 연민에 기반하는 데 비해 문수보살은 시비(是非)를 가려내는 데 치중한다. 결국, 두 삽화는 먼저 지혜를 깨쳐준 후, 거기에 자만하여 청정(淸淨)함을 잃은 데 대해 질책하여 다시 중심을 잡아주는 식으로서 서사가 통합되었다. 셋째, 이야기 속에 담긴 현실 문제를 짚어보았다. 경흥은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고민하는 가운데 처세(處世)와 처신(處身)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해나가는 서사였다. 또, 맨끝에 일연이 마무리 진술과 찬시(讚詩)를 덧보탬으로써 신화적 통합과 현실적 타협을 이루어냈다.

This article explores a mythological understanding of < Kyungheong meets a Saint >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story of the chapter is led by the two characters -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the Bodhisattva of wisdom- conflicting with each other. Firstly, I briefly describe each characteristic of the gods and goddesses considering the father stands for the heaven, while the mother stands for the earth. The image of gods symbolizes a head, superiority and wisdom while the image of goddesses symbolizes a body, equality and love ('mercy' of Buddhism). Secondly, I examine on whether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the Bodhisattva of wisdom are involved in the epic of the chapter. Based on my examination on its composition, the paragraphs about those two characters are contrast to each other as pairs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the episodes about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start with his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ose about the Bodhisattva of wisdom begin with his worldly success. Nextly, I examine how those two conflicting episode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Avaloketesvara illustrations, episodes about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emotional factors are added to resolve the problems caused by Kyungheong's insisting wisdom first. In contrast, in the Manjusri illustrations, episodes about the Bodhisattva of Wisdom, the characters get severely reprimanded when the problems are brought by their arrogance. The former is concentrated on the assimilation through a humor, while the latter is much focusing on the dissimilation of those two factors through a satire.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treats people with compassion, while the Bodhisattva of Wisdom more concentrates on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Finally, the epic of the chapter is integrated in a way that the two episodes firstly make us to gain wisdom and then make us maintain the balance of our minds by reprimanding us for our arrogance of losing our innocent mind. Thirdly, I identifies the realities shown by the story. the chapter of Kyungheong is about the story where the person agonizing between Shilla and Baekje passes through the problems in the realities - how to behave himself in every situation and how to get along in the world. In the last part, Ilyeon, a famous monk, adds his comments and poem praising those characters, which achieves mythological unification and realistic compromise.

1. 문제의 제기
2. 천부(天父)와 지모(地母), 몸과 마음
3. <경흥우성(憬興偶聖)>조의 대립적 구성과 그 의미
4. 마무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